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출산율''임용 적체'로 시들해진 '교육과' 인기…"올해는 경쟁률 오를수도"

서울 중구 청구초등학교에서 지난해 여름 방학식을 마친 학생들이 선생님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손진영기자 son@

2023학년도 경인교대 수능 일반학생전형의 입시결과(하위 20%)는 790.55점으로 2022학년도에 비해 100점 이상 하락했다. 급감하고 있는 출산율, 임용 적체 현상 등으로 진로 불안감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고등학생 희망 직업 조사에서 교사가 상위권을 유지하는 가운데 올해는 지난해 낮은 입시 결과를 확인한 수험생들이 몰리며 경쟁이 다시 심화할 가능성이 있다는 전망이 나온다.

 

■ 초등교육과 학생부교과전형 작년 합격선 급락

 

초등교육과의 학생부교과전형(일반, 지역인재전형)은 5개 대학에서 353명을 선발한다. 그중 경인교대가 교과전형을 신설하며 240명을 선발해 전체모집인원의 68%를 차지하기 때문에 각 대학의 학생부교과전형 선발인원은 적은 편이다.

 

학생부교과전형은 일반적으로 교과 성적이 당락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지만, 경인교대, 서울교대, 이화여대는 면접을 치른다. 또, 이화여대 고교추천전형을 제외한 모든 전형에서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제시한다.

 

2023학년도 학생부교과전형 입시결과는 대체로 2022학년도 대비 하락했다. 서울교대 학교장추천전형의 70% 커트라인(일정한 인원을 뽑는 시험에서 합격권에 든 마지막 점수)은 1.26등급에서 1.9등급으로 낮아져 하락 폭이 가장 컸고, 80% 커트라인은 2.43등급었다.

 

우연철 진학사 입시전략연구소 소장은 "추천인원이 고교별 3명으로 제한돼 경쟁률이 낮았고(1.96대1) 수능최저학력기준이 높아(4개 영역 등급 합 9이내) 최저기준을 통과한 학생이라면 상대적으로 낮은 성적으로도 합격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며 "올해 추천인원 제한이 다소 완화(고3 재적인원의 3% 이내)되기는 하지만 수능최저기준을 통과할 수 있는 수험생이라면 서울교대 학교장추천전형에 도전적으로 지원해 볼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내다봤다.

 

학생부종합전형으로는 전국 13개 초등교육과에서 총 2072명을 선발한다. 전년도 2344명에 비해 272명 감소했다. 이는 경인교대가 작년까지 학교장추천전형을 학생부종합전형으로 선발하다가 올해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전환하면서 모집인원을 크게 늘렸기 때문이다. 다른 대학 학생부종합전형 선발인원은 크게 변하지 않는다.

 

2024학년도 초등교육과 학생부종합전형 수능최저학력기준 적용 대학/진학사 제공

■ 작년 한국교원대 교과전형, 최저기준 미달로 실질 경쟁률 2.5대 1 불과

 

서울교대, 경인교대, 이화여대를 제외한 10개 대학이 지역인재 전형으로 학생을 선발한다. 이 중 공주교대, 광주교대 대구교대 등 많은 대학의 지역인재전형 선발인원이 일반전형에 비해 더 많기 때문에 지원 자격을 충족한다면 해당 전형으로 지원하면 합격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게 전문가 조언이다.

 

또한, 이들 전형을 학생부교과전형으로 운영하는 제주대, 한국교원대와 같은 경우 수능최저학력기준 때문에 실질경쟁률이 크게 낮아지는 경향이다.

 

작년 한국교원대 청람지역인재전형의 경우 모집인원 2명에 43명이 지원해 경쟁률이 21.5대1로 높았지만 최저기준을 충족한 인원은 5명밖에 되지 않아서 실질 경쟁률이 2.5대1에 불과했다. 단, 한국교원대 청람지역인재전형의 경우 올해 수능최저학력기준이 완화되기 때문에 전년보다는 충족률 상승이 예상되므로 최저기준 변화와 같은 사항까지 함께 살펴야 한다.

 

우연철 소장은 "작년에 초등교육과 입시결과는 하락하는 경향을 띠었고 그 폭이 큰 대학들도 있었다. 이는 사회적 현상에 기인한 것"이라며 "이렇게 전년도의 낮은 입시 결과를 확인한 수험생들이 올해 몰릴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전년도의 입시결과만 참고하며 무작정 지원하기보다는 본인의 진로 희망 등을 구체적으로 고민하고 지원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