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사회일반

'발암가능물질' 분류 아스파탐… 업계, 스테비아 등 대체 감미료 검토 중

농식품부 "수급 및 가격 문제는 없을 듯"

지난 10일 오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막걸리. /사진=뉴시스

제로콜라 등 음료와 과자 등 식음료에 사용되는 인공 감미료인 아스파탐이 발암가능물질로 분류된 가운데, 업계는 아스파탐을 타 감미료로 대체를 검토 중인 것으로 나타났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4일 "최근 아스파탐 관련 국제암연구소(IARC)와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의 발표 전망 이후 그간 식품·막걸리 업계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동향을 파악해왔다"며 "업계에서는 IARC의 발암유발 가능성 제기에 따른 소비자 우려를 감안해 대부분 아스파탐 대체를 검토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IARC와 WHO·유엔식량농업기구(FAO) 공동 산하기구인 JECFA는 발암가능물질 분류군인 2B에 아스파탐을 포함한다고 밝혔다.

 

다만, 아스파탐의 기존 일일섭취허용량을 체중 1kg 당 40mg으로 유지하기로 했다. 체중 70kg의 성인의 경우 아스파탐 함유량이 200~300mg의 탄산음료를 하루에 9~14캔을 마시면 허용치를 초과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농식품부에 따르면, 음료와 과자 등에 아스파탐을 사용하는 일부 식품업계는 대부분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등 타 감미료 대체를 검토하고 있고, 큰 어려움이 없다는 입장이다.

 

막걸리 업계 또한 타 감미료 대체를 검토 중이다. 막걸리협회에서는 감미료 사용량이 전체 용량의 약 0.01%로 적어 대체에 따른 수급·가격 문제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업계는 대체 감미료의 당도·단가를 고려시 원가는 오히려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다.

 

업계에 따르면, 아스파탐은 설탕 대비 당도가 200배로 1kg당 4만7000원인데, 대체 감미료인 스테비아 당도는 설탕 대비 300배, 가격은 1kg당 4만6000원으로 더 저렴하다. 수크랄로스의 경우 1kg당 가격은 4만9000원이지만, 당도는 설탕 대비 600배 높다.

 

막걸리 업계는 다만, 감미료 대체에 따른 막걸리 맛 변화 연구, 품목제조변경 신고, 라벨 교체 등에 시간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농식품부는 앞으로도 식약처와 협조해 업계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해나갈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