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식품.막걸리업계 아스파탐 대체 감미료 검토"...농식품부

대체품, 당도 높거나 비슷하고 원가는 하락
맛변화 등 준비시간 필요

세계보건기구(WHO)가 인공감미료 '아스파탐'을 발암가능물질(2B)로 분류함에 따라 식품업계는 대체 감미료를 검토중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14일 보도 참고자료를 통해 "최근 아스파탐 관련 국제암연구소(IARC)와 국제식품첨가물전문가위원회(JECFA)의 아스파탐에 대한 2B 분류 발표 이후 식품·막걸리업계 등과의 긴밀한 소통을 해왔다"며 "업계에서는 IARC의 발암유발 가능성 제기에 따른 소비자 우려를 감안, 대부분 아스파탐 대체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농식품부는 "음료·과자 등에 아스파탐을 사용하는 일부 식품업계는 대부분 수크랄로스, 스테비아 등 타 감미료 대체를 검토 중이며, 큰 어려움은 없다는 입장"이라며 "막걸리 업계 또한 타 감미료 대체를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

 

막걸리업계에서는 감미료 사용량이 전체 용량의 약 0.01% 수준으로 적고 대체감미료의 당도·단가 고려시 원가는 오히려 하락하는 등 대체에 따른 수급이나 가격 문제는 크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주요 감미료의 설탕대비 당도 및 1kg당 가격은 아스파탐의 경우 200배, 4만7000원이고 수크랄로스는 600배, 4만9000원, 아세설팜칼륨 200배, 2만1000원, 스테비아 300배, 4만6000원 등으로 알려졌다.

 

다만, 막걸리업계는 감미료 대체에 따른 막걸리 맛 변화 연구, 품목제조변경 신고, 라벨 교체 등에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의 아스파탐 발암 가능 물질 분류 결과에 따라 제로 칼로리 음료, 막걸리, 과자 등에 아스파탐을 사용하는 식품업계 및 막걸리 업계가 대체 원료 사용을 검토 중이다. 10일 오후 서울시내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막걸리./뉴시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앞으로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협조해 업계 동향을 모니터링하며 관련 업계의 애로해소를 위해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