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변하는 소비 트렌드와 환경에 맞춰 식품기업들이 사업 영역을 확장하면서 선제적 대응에 나서고 있다. 기존 영역에서 벗어나 미래지향적이면서 성장 잠재력이 높은 시장을 점찍고 점진적으로 투자를 확대해가는 모습이다.
◆제과업계, 미래 먹거리·웰니스 겨냥
저출산과 고령화로 인해 제과 주요 소비층인 유소년 인구가 줄어듦에 따라 제과산업은 사양산업으로 꼽혀왔다. 이에 업계는 미래 먹거리 발굴과 함께 연령을 불문하고 즐길 수 있는 신제품 개발로 국내 소비자를 공략하고 있다.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는 미래 먹거리로 식용 곤충을 낙점했다. 식용 벌레는 소고기를 비롯한 기존 식재료와 비교했을 때 더 적은 사료와 물을 들여 많은 단백질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허청에 따르면 롯데웰푸드는 최근 상표 '바로온'을 등록했다. 바로온이 취급하는 상표에는 '벌레가공식품'이 포함됐다.
롯데웰푸드는 지난해 캐나다 식용 곤충 기업 아스파이어푸드에 약 100억원을 투자했으며, 양사는 세계 최대 규모 곤충 단백질 생산 시설을 짓고 기술 제휴 등에 나설 예정이다.
제과 신제품으로는 웰니스 시장을 겨냥해 무설탕 디저트 브랜드 '제로'(ZERO)를 론칭한 바 있다. 제로는 설탕 대신 당 흡수율이 상대적으로 낮은 대체감미료를 사용한 디저트로 올해 4월 기준 누적 판매량 2000만개를 돌파했다.
오리온도 '닥터유', '마켓오' 등 맛과 영양을 모두 겸비한 건강한 제과 브랜드 제품을 꾸준히 선보이고 있다. '
닥터유의 경우 2018년 266억원에서 지난해 836억원 등 매출이 꾸준히 상승하고 있고, 제품군도 단백질 수요 증가에 맞춰 다양하게 늘렸다. 대표적으로 닥터유 단백질 바와 단백질 드링크가 있으며 지난 4월 단백질 함량이 높은 '닥터유PRO 단백질바 크런치' '닥터유PRO 단백질드링크 바나나' '닥터유PRO 단백질파우더 아이솔레이트 딸기' '닥터유PRO 단백질파우더 MAX 초코' 등을 내놓았다.
◆비건 트렌드에 대체유·대안육 시장 성장
매일유업은 기존 유가공이 이끌던 수익구조를 식물성 음료로 전환하는 데 전사적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다.
매일유업은 지난 2015년 식물성 대체유 '아몬드 브리즈'를 판매한 뒤 오트를 이용한 대체유 '어메이징 오트'를 출시하면서 대체유 제품 매출 규모를 1000억원대수준으로 끌어올렸다.
시장조사업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국내 식물성 우유(대체유) 시장 규모는 지난해 6469억원으로 전년 대비 6.5% 증가했다. 5년 전인 2017년 시장 규모(4880억 원)와 비교하면 약 33% 성장했다. 오는 2025년에는 7234억원으로 시장 규모가 확대될 전망이다. 두유를 제외한 국내 대체유 시장 규모가 아직 1000~2000억원 수준에 머무는 것을 고려했을 때 매일유업은 국내 대체유 사업에서 타사와 비교 불가능 한 점유율을 차지하고 있는 셈이다.
대체유 시장이 커짐에 따라 CJ제일제당도 대체유 전문 브랜드 '얼티브'를 선보였으며, 신세계푸드는 대체유 사업 개시를 위해 '제로밀크(Zero Milk)'라는 이름으로 상표를 출원했다.
특히 신세계푸드는 대체식품사업에 전방위적으로 힘을 쏟고 있다. 제품 포트폴리오와 판매처 확대는 물론, 자사 외식 매장을 통한 고객 경험 확대에도 신경쓰고 있다.
신세계푸드의 대안육 '베러미트'는 2021년 7월 론칭 이후 콜드컷 슬라이스 햄, 식물성 런천 캔햄, 소시지 패티, 프랑크 소시지, 미트볼 등으로 제품군이 확장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고 있다. 위탁 운영을 맡고 있는 급식 사업장에서 '베러미트'를 활용해 만든 'ESG 메뉴'의 메뉴 제공도 확대하고 있다.
신세계푸드 관계자는 "대안육이 새로운 미래 먹거리로 인식되면서 향후 식문화에도 변화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며 "앞으로 일상에서 소비자들이 대안육을 편
리하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대안육 제품들을 선보일 예정이다"라고 말했다.
◆고령화에 케어푸드로 눈돌려
고령화가 심화하고 의료기술 발전으로 기대 수명이 늘면서 식자재 납품·급식 사업을 전개해온 기업들은 맞춤형 케어푸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국내 케어푸드 시장은 2011년 5104억원 규모였으나 2017년 1조원을 넘었다. 그리고 2021년 2조5000억원대로 확대됐다. 오는 2025년에는 65세 이상 인구 비중이 20%를 넘는 초고령사회 진입이 예상됨에 따라 시장 규모가 3조원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된다.
현대그린푸드는 국내에서 처음으로 연화식을 일반 소비자에게 판매하며 케어푸드 사업을 적극적으로 펼쳐왔다. 그리고 2020년 케어푸드 전문 브랜드 '그리팅'을 선보였다. 지난해 그리팅 매출은 전년 대비 120% 증가했고, 온라인몰 가입자 수도 20만명을 돌파했다.
CJ프레시웨이의 케어푸드 브랜드 '헬씨누리'도 지난해 매출이 전년 대비 23% 증가했다. 복지시설이나 요양원 등에 공급해온 단체급식용 외에도 1인용 소포장 제품 판매량이 늘어나는 추세다.
아워홈도 케어푸드 브랜드 '케어플러스'를 운영하고 있다. 연화 간편식을 선보이는 등 생애주기별 케어푸드 연구개발에 힘쓰고 있다. 최근에는 케어푸드를 넘어 개인별 건강 취약 요소를 케어할 수 있는 메디푸드에 대한 성장 가능성을 내다보고 관련 제품 개발에 힘쓰고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