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1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상환액 소폭 증가

"글로벌 증시 상승 영향"

/금융감독원

글로벌 주요 지수 등이 상승하면서 올해 1분기 파생결합증권(ELS·DLS) 발행액과 상환액이 전년 동기 대비 모두 증가했다. 글로벌 주요 증시 상승 영향으로 조기상환 규모가 증가한 것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3년 1분기 중 증권회사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현황'에 따르면 1분기 파생결합증권 발행액은 14조9000억원으로 전년 동기(14조5000억원) 대비 4000억원 늘었다. 상환액은 17조4000억원으로 전년 동기(9조원) 대비 8조4000억원 증가했다.

 

1분기말 잔액은 98조7000억원으로 직전 분기말(102조2000억원) 대비 3조5000억원 감소했다.

 

ELS 발행액은 9조7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3000억원(19.4%) 감소했다. 직전 분기와 비교하면 16조5000억원(62.9%) 줄었다. 직전 분기 대비발행액이 크게 감소한 것은 직전 분기에 연말 퇴직연금 편입 ELS 차환 수요가 집중됐던 기저효과에 기인한다.

 

지수형 ELS 발행액은 7조2000억원으로 같은 기간 1조6000억원 감소했으나, 그 비중은 74.1%로 1.2%포인트(p) 늘었다. 종목·혼합형 ELS 발행액은 2조6000억원(비중 25.9%)이다. 전년 동기 대비 발행액은 7000억원 감소하고, 비중도 1.2%p 줄었다.

 

기초자산별 발행 규모로 따지면 미국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유럽 유로스톡스(EuroStoxx)50, 코스피200 ,닛케이225 순이다. 각각 발행액은 6조3000억원, 5조7000억원, 3조9000억원, 1조8000억원이다.

 

ELS 상환액은 12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6조8000억원) 대비 12조2000억원 증가했다. 다만 직전 분기(21조3000억원) 대비로는 9조1000억원(42.8%) 줄었다. 퇴직연금에 편입된 원금지급형 ELS 만기상환이 연말에 집중되면서다.

 

파생상품연계증권(DLS·DLB 포함) 발행액은 5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2조7000억원(108.3%) 증가했고, 직전 분기 대비 2조2000억원(30.2%) 줄었다. 전년 동기 대비 쿠폰금리 상승 및 증권사 자금조달 수요 등에 따라 원금지급형 DLS 발행이 확대된 데 기인했다는 설명이다.

 

DLS 기초자산별 발행액은 금리가 4조1000억원, 신용이 1조원, 원자재 400억원 등이다. 1분기 DLS 상환액은 5조2000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조원(136.6%) 증가했다. 같은 기간 DLS 발행 잔액은 31조3000억원으로 2000억원(0.4%) 줄었다.

 

한편, 1분기 ELS 투자수익률은 연 7.2%로 전년 동기 대비 3.5%p 증가하고, DLS 투자수익률은 연 2.2%로 같은 기간 0.7%p 늘었다. 고금리 기조 및 주가지수 등 기초자산 변동성 확대 등의 영향으로 파생결합증권의 쿠폰금리가 개선되며 투자 수익률은 전반적으로 증가했다.

 

1분기 중 증권사의 파생결합증권 발행·운용 손익은 5416억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4814억원늘었다. 국채 금리 하락 등의 영향으로 헤지자산인 채권 등에서 운용이익(4조9000억원) 발생한 것에 주로 기인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글로벌 주요 지수의 회복세 등으로 조기상환이 증가하고 신규 낙인 발생 규모도 미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며 "다만 향후 대내외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대비하여 홍콩H지수 및 낙인 발생 관련 투자자 손실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