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금융지주 역대급 실적 예고…충당금·배당액 관심

KB금융 충당금 상반기에만 1.3조 적립
분기배당액 KB 510원 우리 180원 확정
금융지주 주가 연초 대비 하락세 전환

KB금융지주, 신한금융지주, 하나금융지주, 우리금융지주 본사 전경./각 사

4대 금융지주의 상반기 실적이 역대 최고치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면서 충당금과 분기배당액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하반기에 건전성이 악화될 것이란 분석이 지배적으로 금융지주들이 주주환원과 부실우려를 잠재울 지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

 

26일 금융권에 따르면 KB금융지주를 시작으로 오는 27일 신한·하나·우리금융이 상반기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다.

 

지난 25일 실적 발표를 마친 KB금융지주의 경우 올해 상반기 전체 순이익(2조9967억원)은 지난해 같은 기간(2조6705원) 대비 12.2% 증가했다고 공시했다.

 

2분기 당기순이익(지배기업 지분 순이익 기준)은 1조4991억원으로 지난해 동기(1조299억원)대비 23.9%(2892억원)증가했다.

 

나머지 금융지주 역시 역대급 실적을 기록할 것으로 보고 있다.

 

증권가에서는 신한금융지주 1조2660억원, 하나금융지주 9668억원, 우리금융지주 8883억원의 순익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시장금리가 상승하면서 지난해부터 이자이익이 늘어나 실적 상승을 견인할 것이란 분석이다.

 

금융지주들이 역대급 실적 예고로 시장에서는 충당금을 얼마나 쌓을지 주목하고 있다.

 

최근 은행 연체율이 오르고 있는 상황에서 오는 9월 코로나대출 만기와 다시 상승하고 있는 가계대출로 인해 건전성 문제가 대두되고 있기 때문이다.

 

5대 은행의 지난 6월 말 기준 원화 대출 연체율은 평균 0.29%로 전달 0.33%보다 0.04%포인트 낮아졌지만 지난해 6월 0.17%와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다.

 

KB금융은 충당금을 지난해 2분기(3298억원)보다 약 2배 늘린 6513억원을 적립하면서 상반기 충당금만 1조3195억원을 적립했다.

 

신한·하나·우리금융 역시 충당금 규모를 지난해 동기 대비 2배 이상씩 늘릴 것으로 보인다.

 

또 하나의 관전 포인트는 분기배당액이다. 금융지주 주가가 힘을 쓰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KB금융의 올해 1월 2일(종가기준) 주가는 4만7600원이었지만 지난 25일에는 4만7650원을 기록했다. 역대급 실적에도 연초 대비 50원 오를 것이다.

 

같은 기간 신한금융은 3만4300원에서 3만3050원으로 하락했고, 하나금융은 4만800원에서 3만8550원으로 하락, 우리금융은 1만1250원에서 1만1640원으로 소폭 상승했다.

 

역대급 실적을 기록하고 있지만 주가는 대부분 하락하고 있어 금융지주들은 주가 부양을 위해 분기배당을 일제히 결정했다.

 

현재까지 분기배당액을 발표한 곳은 KB금융 510원. 우리금융 180원이다. 신한금융과 하나금융의 경우 각각 525원, 600원을 책정 할 것이란 전망이다.

 

금융지주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올 초부터 배당 확대 자제를 요구했지만 호실적으로 주주들에게 보답하고자 분기배당을 진행하는 것"이라며 "금융사 성장에 문제가 될 것이란 당국의 지적도 있지만 충당금을 충분히 쌓고 있어 건전성 대비를 철저히 하고 있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