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팬데믹 기간동안 홈술 트렌드에 힘입어 와인 수요가 늘었지만, 엔데믹 전환 이후 와인 열풍이 한 풀 꺾인 모양새다.
2030 젊은 층을 중심으로 와인에 대한 관심이 위스키로 옮겨간데다 술과 음료를 섞어마시는 '믹솔로지' 트렌드가 형성되면서 하이볼, 모히또 등 혼합주가 와인을 대체했기 때문이다.
관세청 수출입 무역통계에 따르면 올 상반기 와인 수입량은 3만1300t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8% 줄었다. 지난해 상반기에 전년 동기 대비 13.2% 줄어든 데 이어 2년 연속 감소했다.
반면 스카치·버번·라이 등 위스키류 수입량은 1만6900t으로 집계됐다. 이는 사상 최대 기록으로 지난해 동기 대비 50.9% 급증한 수치다.
롯데멤버스에 공개한 '요즘, 우리는' 뉴스레터에 담긴 주류 소비 트렌드를 살펴봐도 알 수 있다. 6월 26일부터 지난달 4일까지 롯데멤버스 자체 리서치 플랫폼 라임(Lime)을 통해 전국 성인 남녀 2000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조사에서 즐겨마시는 주종 1위는 맥주(45.0%)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2위는 소주(30.0%)가 차지했다. 이어 혼합주(5.2%), 막걸리/동동주(4.5%), 양주(4.3%), 와인(4.2%) 순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설문조사에서는 와인(8.8%)과 막걸리/동동주(6.8%)가 혼합주(5.0%)를 앞질렀지만, 올해는 하이볼과 모히또 등이 인기를 끌면서 혼합주를 선호하는 이들이 늘었다.
실제 롯데 전 유통점에서의 거래데이터를 살펴본 결과, 2020년 상반기 대비 올 상반기 토닉워터 판매량은 292%, 위스키 판매량은 364%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상반기와 비교해봐도 각각 191%, 126% 늘어난 수준이다.
응답자 10명중 8명이상이 '술에 다른 음료나 주종을 섞어 마셔본 경험이 있다(88.5%)'고 답했다.
술을 마시는 장소로는 집(자신/친구/지인)을 꼽는 이들이 43.9%로 여전히 가장 많았으나, 코로나19 바이러스가 기승이던 2021년 8월 조사 결과(83.6%)에 비해서는 절반 수준으로 떨어졌다. 대신 식당/카페 응답률은 2021년 6.7%에서 22.6%로, 포차, 호프 등 주점 응답률은 5.0%에서 21.2%로 증가했다.
업계 관계자는 "일상회복과 함께 홈술 열풍이 꺾인데다, MZ세대 사이에서 위스키가 떠오르면서 와인에 대한 관심이 주춤하고 있지만, 와인의 절대적인 비중은 위스키보다 크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와인 수입 업체들은 제품 포트폴리오를 다양화하고 소비자들의 관심을 돌릴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
종합주류기업 금양인터내셔날은 이탈리아 유명 와인 생산자 미켈레 끼아를로(Michele Chiarlo)의 신제품 '모스카토 다스티 카넬리 P 니볼레'를 판매한다.
미켈레 끼아를로 와이너리에서 처음 출시하는 프리미엄급 모스카토 프로젝트다. 일반적인 모스카토 다스티 와인과 달리 포도를 수확한 후 처음 압착한 신선한 원액으로 와인을 만들어 매년 10월에 한번만 출시한다. 전국 백화점과 할인점, 와인샵 등에서 1800병 한정판매한다.
하이트진로로 롯데칠성음료도 프리미엄 와인 수입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하이트진로는 와인 업계에서 '최고 중의 최고'로 꼽히는 '끌로 후자(Clos Rougeard)' 와이너리의 공식 수입사로 와인 4종을 첫 선을 보였다. 롯데칠성음료는 E&J Gallo 와이너리의 '오린 스위프트'를 앞세워 국내 럭셔리 와인시장을 공략한다. 오린 스위프트는 미국 컬트 와인(소량 생산의 고품질 와인)의 대명사로 널리 알려질 정도로 인지도가 높다.
사측은 "국내 와인시장이 급성장한 가운데 럭셔리 와인에 대한 소비자 수요가 늘며 여전히 성장 잠재력이 크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차별화된 디자인과 스토리가 있는 럭셔리 와인으로 만족도를 높일 것"이라고 말했다.
유통 업체들은 와인 전문 공간을 강화해 고객 체류 시간을 늘린다는 계획이다.
롯데마트는 지난 2021년 롯데마트 잠실 제타플렉스점에 보틀벙커 1호점을 열고 창원, 광주에 연달아 오픈했다. 연내 서울역 일대에 보틀벙커 4호점도 계획중이다.
신세계도 하남 스타필드에 1652㎡의 초대형 규모 와인 전문점인 '와인클럽'을 운영한다. 와인 구매는 물론 '아로마 체험 존'에서 와인 고유의 향을 경험할 수 있고, '와인 랩(LAB)'을 통해 와인 전문가들의 특강도 들을 수 있다.
와인 수입사 나라셀라도 최근 강남구 신사동에 와인 복합문화공간 '도운(萄韻)'을 오픈했다. 435평 규모로 지하 2층부터 지상 7층과 루프탑까지 총 10개층으로 이뤄진 이 곳은 프라이빗 와인 스토리지부터 와인샵, 와인 시음회 및 페어링 클래스를 열 수 있는 홀과 파인다이닝, 와인 바까지 다양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업계 관계는 "홈술족을 겨냥하던 와인업계가 최근 외식업체를 타깃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며 "또 프리미엄 와인 수입·판매와 함께 부담없는 가격의 가성비 제품도 개발해 다양한 소비층 공략에 나섰다"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