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석유화학/에너지

유류세 인하 종료 되나?…3분기 회복 기대하던 정유사들 '예의주시'

서울 만남의광장 주유소를 찾은 운전자들이 주유를 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국제유가가 상승세를 탄 가운데 이달 말 종료를 앞둔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 여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2분기 글로벌 경기 침체 여파를 받은 국내 정유사들 역시 3분기를 준비하기 위해 유류세의 향방을 예의주시하고 있는 실정이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세수 결손'을 채울 카드로 정부가 유류세 인하 종료를 고려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당초 4월 말에 유류세 인하를 종료할 예정이었지만 4개월 연장한 터라 이번 연장을 어렵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현재 유류세는 탄력세율 조정으로 휘발유는 25%, 경유와 LPG 부탄은 37%가 각각 인하된 상태다.

 

유류세 인하 조치를 종료하면 리터(L)당 휘발유 가격은 205원, 경유 가격은 212원 오르게 된다. 문제는 현재 국제유가가(두바이유 기준) 꾸준히 오름세를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소비자들이 실제로 접하는 기름가격에 국제유가가 반영되는 데에는 2주 정도의 시차가 있지만, 유류세 인하 효과가 없어지면 소비자들은 단번에 '고유가'로 체감할 가능성이 높다.

 

유가정보시스템 오피넷에 따르면 3일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1656.46원, 경유 가격은 1470.49원이었다. 반면 지난달 5일 전국 평균 휘발유 가격은 1569원, 경유 가격은 1379원으로 휘발유는 90원, 경유는 190원 가까이 가격이 올랐다. 그리고 현재 이 추세는 계속 유지되고 있다.

 

정유사들은 4월 당시에는 유류세 인하 조치 종료를 고려해 생산량 조절 방안 등을 고민하고 있는 중이었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현재는 글로벌 원유감산 추세와 드라이빙 시즌의 도래로 기름값 상승이 이어질 것이란 예측이 우세하기 때문이다.

 

정제마진도 덩달아 상승세를 보이고 있어 정유사들에는 호재다. 정제마진은 7월 넷째 주 싱가포르 복합 정제마진 기준으로 배럴당 전주 대비 2.1달러 상승한 8.9달러를 기록해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 업계에서는 통상 4~5달러를 손익분기점으로 보기에 정유사들은 3분기 반등을 기대하는 모습이다.

 

독일 대표 상업은행인 코메르츠방크도 "미국의 재고 감소와 사우디아라비아의 하루 100만 배럴 자발적 감산을 감안하면 8월 석유수출국기구(OPEC)의 원유 생산량이 2021년 가을 이후 최저 수준으로 감소할 수 있다"고 분석을 내놓기도 했다.

 

올해 2분기 글로벌 수요 침체로 부진한 실적을 낸 정유사들이 이러한 최근 국제유가 상승, 정제마진 회복세에 힘입어 3분기부터는 실적 개선에 나설 수 있을지 주목되는 이유다.

 

석유협회관계자는 "정유사 매출액 중 52~53% 이상이 수출에서 발생한다"며 국내 유류세 인하 종료가 미치는 영향이 일부 제한적일 것이라고 봤다. 이어 "가격이 높아지면 소비자들의 수요가 위축될 수는 있겠지만 일정 수요 이상을 발생할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급격히 석유제품 수요가 줄어들지는 않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다만 업계에서는 석유제품 수요가 회복되는 시점과 공급이 제한되는 시점이 맞물려 유가 상승 추세가 꺾이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도 내놨다. 정유 업계 관계자는 "3분기가 아직 두 달이나 남은 시점에서 이제 막 휴가철 수요가 늘어나고, 국제 유가 역시 확실히 예측할 수는 없기에 3분기도 유류세 인하 조치 연장 여부를 포함해 시장 추이를 예의주시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