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스플레이 업계가 한자리에 모여 최신 기술을 소개한다. 다양한 형태로 변신하는 최신 OLED 기술과 함께, 디스플레이로 덮히는 미래차까지 볼 수 있을
한국디스플레이산업전시회가 16일부터 18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열린다. 한국디스플레이산업협회가 개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가 지원, 한국산업기술평가관리원이 전담한다.
이번 전시회는 22회로, 국내외 172개사가 참여하며 역대 최대 규모로 진행된다. 수출을 위한 무역상담회와 전문가 포럼, 한일 디스플레이협회의 협력 강화를 위한 양해각서(MOU) 체결 등 부대 행사도 이어진다.
특히 삼성디스플레이와 LG디스플레이가 지난 SID2023에서 선보였던 최신 기술을 비롯해 풀라인업을 소개하며 국내 디스플레이 산업 '초격차'를 자랑한다.
◆ 삼성디스플레이, QD-OLED 체험 공간 마련
삼성디스플레이는 'Big step on the journey to a sustainable future life'를 주제로 혁신 제품을 소개하고 직접 성능을 체험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했다. 새로운 응용처와 지속 가능성도 소개했다.
세계 최고 수준 플렉시블 OLED 기술력을 앞세웠다. 12.4형 롤러블 디스플레이와 17형 대화면 슬라이더블 디스플레이, 플렉스 슬라이더블 솔로와 플렉스 슬라이더블 듀엣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접고 펼칠 수 있는 제품들이다. S자형 폴더블과 G자형 폴더블, 노트북형 폴더블 등 상용화가 눈앞에 있는 기술도 함께다.
삼성디스플레이는 12.4형 롤러블 제품에 대해 "평소 작은 바형태로 화면을 말아서 휴대하다 사용 시에 5배 이상 화면을 확장시킬 수 있는, 이상적인 포터블 디스플레이"라고 설명했다.
지난 CES2023에서 이목을 끌었던 '뉴 디지털 콕핏'도 볼 수 있다. 34형과 15.6형 멀티 스크린 솔루션으로, 34형 OLED는 화면 좌우를 구부리는 벤더블 기술을 적용해 주행시 집중을 높이고 자율주행 모드에서는 엔터테인먼트로 활용도를 높인다. 2열 탑승자를 위한 슬라이더블 형태 RSE 디스플레이도 함께 선보인다.
아울러 삼성디스플레이는 SID '올해의 디스플레이'상을 수상한 QD-OLED 제품도 대거 내놨다. '팬톤'으로부터 색표현력을 인정받는 등 우수성을 인정받은 상용 제품들이다. QD-OLED와 LCD 화질을 비교 체험해볼 수 있으며, 새로 추가된 77형 TV용과 49형 모니터 제품도 함께다. 34형 QD-OLED를 탑재한 모니터로 '검은사막'을 즐겨보는 '게임 체험존'도 있다.
삼성디스플레이는 '닥터 OLED의 이상한 실험실'로 OLED 장점을 직접 경험해보는 공간도 준비했다. 스마트폰을 어항에 넣고 촬영하며 방수 기능을 확인하고 LCD와 OLED 패널을 헬륨 풍선에 매달아 가벼운 무게도 눈으로 볼 수 있다. 폴더블 패널을 접고 펴는 폴딩 테스트기로 내구성도 보여준다.
삼성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삼성디스플레이가 오랜 기간 축적해온 기술력을 재미있는 실험으로 알리고 싶었다"며 "관람객들은 '닥터 OLED의 이상한 실험실'을 통해 OLED의 우수성을 자연스럽게 체감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근수 중소형디스플레이사업부 개발실 담당상무는 행사 개막식에서 '폴더블용 UPC 플러스 기술 개발' 공로를 인정 받아 정보디스플레이 대상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상을 받았다.
◆ 공간마다 OLED 최적화한 LG디스플레이
LG디스플레이는 '올웨이즈 온'을 주제로 '다양한 사용 환경에 최적화된 디스플레이로 고객경험을 혁신한다'는 뜻을 전한다. ▲모빌리티 ▲토털 솔루션▲ 투명한 미래 등 3가지 테마로 구성했다.
모빌리티 테마에서는 자율주행 콘셉트카로 미래 모빌리티 혁신과 디스플레이 미래를 제시했다. LG디스플레이는 탠덤 OLED와 하이엔드 LCD를 아우르는 차별화된 기술 경쟁력을 기반으로 매출과 수주 확대를 이어가며 세계 최고 경쟁력을 자랑하는 회사, 새로운 기술을 대거 내놓고 미래 모빌리티 시장 경쟁력을 확인해준다.
대시보드를 가로지르는 34형 초대형 P-OLED와 함께 뒷좌석까지 유연한 곡선으로 디자인을 차별화하는 P-OLED 기반 12인치 디스플레이가 대표 제품이다. P-OLED는 탠덤 OLED를 플라스틱 기판에 결합해 얇고 가볍게 구부릴 수 있게 만들어 다양한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고, 소비전력이 높으면서 무게는 낮아 전기차 시대 최적 제품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합리적인 가격으로 사용할 수 있는 신제품 'ATO'와 안전 운행을 돕는 시야각 제어 신기술 'SPM' 등 새로운 솔루션도 있다. ATO는 OLED 공급 확대를 위해 유리 기판을 사용해 부담을 줄였다.
'토털 솔루션' 공간에서는 혁신 기술 '메타 테크놀로지'와 OLED 풀라인업, 하이엔드 LCD 등 다양한 기술 리더십을 한 눈에 볼 수 있게 했다.
OLED TV 패널은 42인치부터 97인치까지 크기 제품을 한곳에 모아 초미세렌즈(MLA)로 성능을 극대화한 메타 테크놀로지 우수성을 체감할 수 있게 했다. 3세대 OLED 패널과 함께 필름형 CSO로 스피커 없이 생생한 경험을 제공하는 게이밍 OLED도 함께다.
폼팩터 혁신 제품도 있다. 곡률 2.5R의 17인치 폴더블 노트북용 OLED와 양방향 폴딩이 가능한 8인치 360도 폴더블 OLED도 소개했다.
차세대 기술인 AR 글래스용 OLEDoS도 선보였다. 0.42인치 크기로 실리콘 웨이퍼에 OLED를 적용해 3500PPI 초고해상도를 자랑한다.
차별화된 기술로 LCD 수명을 연장한 하이엔드 제품도 소개했다. 광시야각 기술 IPS 블랙과 480Hz 초고주사율 등이 장점이다.
'투명한 미래'는 LG디스플레이가 유일하게 양산하는 투명 OLED와 신제품까지 공개된다. 55인치에 이어 30인치와 77인치 신규 사이즈를 처음으로 볼 수 있다. 커브드 투명 OLED로 새로운 폼팩터로도 진화했다. 스타벅스와 협업한 투명 OLED 매장용 콘셉트도 조성해 투명 OLED를 사용하는 미래 매장을 상상했다.
LG디스플레이 관계자는 "초대형과 중소형, 초소형, 차량용, 투명에 이르는 다양한 OLED 솔루션을 총망라해 LG디스플레이만이 가능한 혁신적 고객경험을 지속적으로 선보일 것"이라고 말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