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취업자 6명중 1명은 '알바'...한국, 단시간일자리 증가폭 OECD 1위

2012년 10.1%→2022년 16.4%
OECD평균은 감소

구직자들이 지난달 서울지역의 한 취업박람회장 입장을 위해 늘어서 있다. /뉴시스

 

 

우리나라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 중 단시간근로자 비중이 가장 가파르게 불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임시직근로자 비중에서 OECD 1~2위를 다투는 상황에 더해 고용의 질이 악화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21일 OECD에 따르면 지난해 한국은 전체 임금근로자 대비 '주 30시간 미만' 단시간근로자 비율이 16.4%를 기록했다. 10년 전(10.1%)보다 6.3%포인트(p) 증가했다.

 

지난 2012년에 10명 중 1명에 그쳤으나 2022년 기준 취업자 6명 가운데 1명이 이른바 '알바(파트타임)'를 하고 있는 셈이다.

 

이에 반해 37개 OECD회원국(38곳 중 미국 제외) 평균은 2012년 16.9%에서 지난해 16.1%로 되레 감소했다. 또 작년에 한국은 OECD평균을 역대 처음으로 넘어섰다.

 

같은 기간 프랑스의 경우 13.9%에서 13.1%로 줄었고, 스웨덴은 14.3%에서 11.8%로 크게 감소했다. 포르투갈은 12.5%에서 5.0%로 비중이 무려 7.5%p 내려갔다. 영국은 비중이 한국보다 크지만 10년 전 25.0%에서 지난해 21.9%로 줄어들었다.

 

한국은 지난 10년간 프랑스를 비롯해 스페인, 스웨덴, 핀란드, 이스라엘, 튀르키예, 코스타리카, 칠레 등을 따라잡았다.

 

이 같은 세계 최고수준의 단시간일자리 증가 폭은 수년간 60세 이상 일용직 등의 수가 지속적, 큰 폭으로 늘었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통계청 조사 등에 따르면 청년층 정규직일자리 감소가 더 큰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통계청의 경제활동인구조사에 따르면 올해 5월 기준 주 36시간 미만(파트타임) 청년취업자 중 47%가 대학 등의 졸업(수료·중퇴) 후에도 상근직 근로자로의 전환을 못 하거나 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졸업자 가운데 74%는 '그대로 계속 (시간제근로자로) 일하고 싶다'고 응답했다.

 

통계청이 이달 초 발표한 '7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60대 이상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29만8000명 증가했다. 반면 20대에서는 12만8000명 감소했다. 15~29세 나이대 취업자 수도 전년동월 대비 13만8000명 줄어 9개월째 내림세를 보였다. 이와 관련해 한 정부 관계자는 "청년층 인구감소가 다른 연령층에 비해 뚜렷하다는 점도 고려해야 한다"고 설명한 바 있다.

 

OECD 통계에 따르면 한국은 올해 2분기 15~24세 고용률이 27.9%에 그쳤다. 2021년 4분기(27.7%) 이후 최근 여섯 분기 동안 가장 낮은 수치다.

 

반면 일본은 해당 연령대 고용률이 47.8%에 달해 지난 1974년 4분기(47.9%) 이후 근 49년 사이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물론 대졸자 등을 포함하는 15~29세 연령대 비교와는 차이가 있다.

 

일본은 또 올해 2분기 기준 15세 이상 전체고용률이 78.9%에 이르렀다. 한국은 69.3%를 기록했다.

 

한국은 단시간일자리 말고도, 지난 2021년 임시직(한시적)근로자 비율에서 28.3%로 OECD 1위에 올랐다. 2022년에도 2위(27.3%)를 차지하는 등 고용시장 건전성이 상대적으로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