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잭슨홀 미팅이 뭐길래?…'뉴노멀' 고금리 이어진다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의장. /뉴시스

전 세계 금융시장의 이목이 오는 24일(미국 현지시각) 시작하는 잭슨홀 미팅에 쏠리고 있다.

 

지금까지 잭슨홀 미팅이 통화정책 등의 굵직한 변화를 알렸다면 이번엔 좀 다르다. 통화긴축의 종료가 아닌 장기화를 알리며 고금리·고물가가 고착되는 '2020년대식 뉴노멀'을 공식화할 가능성이 높다.

 

21일 블룸버그통신 등에 따르면 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 제롬 파월 의장은 와이오밍주 잭슨홀에서 열리는 잭슨홀 미팅에 참석해 경제전망에 대해 연설할 예정이다. 올해 주제는 '세계 경제의 구조적 변화'다.

 

잭슨홀 미팅은 쉽게 말하면 통화정책 포럼이다. 매년 8월 캔자스시티 연방준비은행이 주최하는데 연준 의장을 비롯해 각국 중앙은행 총재나 경제학자 등 전문가 150여명이 참석해 각종 현안에 대해 논의한다. 양적완화나 오퍼레이션 트위스트(장기채권을 사고 단기채권을 팔아 유동성을 공급), 인플레이션 목표 등이 모두 잭슨홀 미팅에서 언급됐던 만큼 미팅 결과는 각국의 통화정책에 막대한 영향 미친다.

 

올해는 유독 전세계의 이목이 집중됐다. 각국 중앙은행들이 일제히 풀었던 유동성을 거둬들이면서 엔데믹 시대의 통화정책에 대한 고민이 깊어진 탓이다.

 

하나증권 전규연 연구원은 "잭슨홀 미팅에서는 물가, 금리 등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돌아오지 않는 근본적인 경제 구조 변화를 짚고, 중립금리(과열이나 침체가 없는 잠재성장률 수준의 금리)가 기존 추정보다 높을 수 있음을 시사하면서 고금리를 장기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논리를 제시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이어졌던 저금리 시대가 끝나고 고금리가 뉴노멀이 된다는 얘기다.

 

KB증권 김일혁 연구원은 "연준이 금리를 큰 폭으로 추가 인상하는 데에 주력하기보다는 높은 기준금리를 오랜 기간 이어가는 것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다"며 "적정한 수준의 통화긴축이 이어지면서 이전보다 높은 성장, 물가, 금리 환경의 '2020년대 뉴노멀' 시대가 펼쳐질 것"이라고 밝혔다.

 

잭슨홀 미팅에서 언급되는 내용에 따라 금리, 환율 등 금융시장의 변동성도 높아질 수 있다.

 

국제금융센터 강봉주 부전문위원은 "이번 잭슨홀 미팅에서는 커다란 정책 변화는 없겠지만 최근 미국 국채금리 상승과 엔화 약세 등에 대한 중앙은행 인사들의 메시지가 나올 수 있어 금융시장 지표들이 예상보다 큰 폭으로 움직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