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국내학자가 지은 생물학명 증가...'꼬레아나·코리아너스'

과거 외국학자가 Halenia corniculata라는 학명을 지은 바 있는 닻꽃이다. 이후 국내 연구자가 한반도 중남부에 서식하는 개체는 형태 및 DNA 염기서열에 있어 북한과 중국, 러시아, 일본 등지에 분포하는 H. corniculara와 뚜렷이 구분됨을 밝혀냈다. 지난 2019년 Halenia coreana(참닻꽃)라는 신종 학명이 발표됐다. 멸종위기 II급이다. /국립생물자원관

 

 

국내 학자가 명명한 자생생물 학명 수가 지난 2000년과 비교해 4배 이상(누적기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은 23일 국가생물종목록에 등재된 5만8050종의 국적별 명명자를 인공지능 기술인 챗지피티(ChatGPT)와 전문가 검토 방식으로 분석했다고 밝혔다. 이 결과 국내 학자가 지은 학명이 지난해 기준 6851종으로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원핵생물 2536종과 무척추동물 1744종, 곤충 1720종, 균류 및 지의류 397종, 조류 234종, 식물 171종, 어류 40종, 양서파충류 9종 등이다. 이 중 원핵생물의 경우, 전세계 기록종 1만 9440여종 중에서 국내 학자가 지은 학명이 13% 차지했다.

 

자원관은 "이는 2000년 1662종 대비 4배 이상 증가한 수치"라며 "국내 학자들의 명명 비율은 11.9%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어 "한반도에만 자연적으로 서식하는 고유종 2355종 가운데 64%인 1506종의 학명이 국내 학자가 지었다. 2000년 847종 대비 약 2배 늘어났다"고 했다.

 

또 최근에는 한반도에 분포하는 개체가 주변국 개체와 다른 종으로 밝혀져 학명에 우리나라를 뜻하는 꼬레아나(coreana)·코리아너스(koreanus) 등으로 명명된 사례도 늘었다고 밝혔다.

 

자원관은 "우리나라 자생생물 학명은 2000년 이전까지는 유럽과 일본, 중국 등 외국학자들이 주로 지어서 우리나라 연구자의 명명 비율은 3.4%에 불과했다"고 했다. 이후 2007년 국립생물자원관 개관에 따른 자생생물 발굴사업 등 신종 발굴에 힘입어 국내 연구자의 명명 비율이 크게 늘어났다는 설명이다.

 

서민환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최대 10만 종으로 추정되는 한반도 자생생물 발굴을 위해 분류학 기반 연구를 더욱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