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유통>업계

"편의점 맞아요?" 커피 이어 빵까지… 편의점 업계, 빵 전쟁 2차전

CU가 23일 처음 선보인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베이크하우스405'의 첫 상품 '소프트롤링'을 모델이 들고 있다. /BGF리테일

편의점 업계가 전문 카페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커피부터 베이커리까지, 전문점 부럽지 않은 퀄리티로 고객들을 사로잡고 있다.

 

23일 <메트로경제> 의 취재에 따르면 고물가 현상으로 편의점 즉석 커피가 큰 관심을 받으면서 업계 내 경쟁이 치열해지자 커피와 함께 즐기기 좋은 베이커리 상품 품질도 크게 상승하고 있다.

 

편의점 업계는 지난해 SPC삼립의 포켓몬빵을 시작으로 베이커리 관련 상품 매출이 수직 상승했다. 포켓몬빵이 출시 한 달만에 1000만 개의 판매고를 올리며 생산량이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면서 편의점 업계 내에서도 캐릭터 상품과 결부한 다양한 빵을 출시했다.

 

지난해 10월 SPC의 경기도 평택 소재 제빵공장 내 사고 후 관련 상품 매출이 다소 주춤했다. 지난 봄부터 고물가 현상과 예년 보다 더운 날씨로 편의점 즉석커피가 인기를 끌며 디저트 상품에 대한 고객의 관심이 커지면서 편의점 빵 2차전이 시작됐다.

 

편의점 CU는 이날 자체 베이커리 브랜드 '베이크하우스405(BakeHouse405)'를 론칭하고 첫 상품으로 '소프트롤링'을 선보였다. 소프트롤링은 1800원에 불과한 가격이지만 빵의 결대로 찢어서 즐길 수 있는 부드럽고 촉촉한 식감이 특징이다.

 

BGF리테일 스낵식품팀 김준휘 MD는 "맛있는 빵을 만들기 위해 해외 선진 기업과의 제휴는 물론 국내 우수 전문 중소업체와의 협업을 꾸준히 진행해왔다"며 "점점 더 높아지는 소비자들의 눈높이에 맞춰 말 그대로 맛있는 빵을 꾸준히 선보일 계획"이라고 말했다.

 

소프트롤링에 이어 이달 30일에는 시그니처 페스츄리 상품도 선보인다. 오랜 시간 고객에게 사랑을 받아온 혼당 페스츄리 메뉴와 최신 트렌드를 반영한 3가지 맛을 더했다. 초코 혼당부터 고소한 황치즈, 진한 말차 등 4가지 맛(스위트, 초코, 황치즈, 말차)을 선보인다.

 

GS25는 지난 6월 '혜자로운 맘모스빵'을 출시하며 편의점 상품으로는 비싼 가격인 4900원을 책정했다. 편의점 베이커리 상품이 보통 2000원 내에서 형성된다는 점을 생각하면 2배가 넘는 가격이다. 그럼에도 출시 후 베이커리 부문 매출 1위를 차지한 것은 물론 7월 GS25의 일반빵 카테고리 인당 구매 가격이 전년 대비 22% 늘었다. 압도적인 크기와 함께 높은 퀄리티가 매출의 비결이다.

 

GS25는 CU보다 앞서 2021년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브레디크를 론칭하고 퀄리티 높은 제품을 선보이기도 했다. 브레디크는 출시 2년 만에 판매량 150만 개를 달성했으며 현재까지도 꾸준히 인기를 유지하고 있다. GS25에 따르면 브레디크의 7월 매출이 지난해 동기 대비 59.4% 신장했다.

 

세븐일레븐도 프리미엄 베이커리 상품으로 재미를 봤다. 2021년 자체 프리미엄 베이커리 브랜드 '브레디움'을 출시한 후 꾸준히 프리미엄 빵을 출시 중인데, 세븐일레븐의 올해 상반기 빵 전체 매출은 전년 대비 50% 증가했다. 지난달에는 청정 제주우유와 컬래버해 PB 세븐셀렉트를 통해 '제주우유빵'을 추가 출시했다. 프리미엄 원유와 고품질 버터를 아끼지 않고 사용했다. 지난 1월 출시했던 제주우유 생크림빵은 한 달 만에 50만 개가 판매 되는 기록을 세웠다.

 

김민종 세븐일레븐 베이커리 담당 MD는 "최근 편의점에서 빵을 구매하는 고객들도 차별화된 원료의 프리미엄 빵을 선호하는 경향이 높아지고 있다"며 "편의점 빵에 대한 고객들의 니즈를 충족시킬 수 있도록 빵의 맛과 품질을 더욱 높여가겠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