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우리는 왜 페이크에 속는가? 外

◆우리는 왜 페이크에 속는가?

 

이시카와 마사토 지음/임세라 옮김/여문책

 

코로나 팬데믹으로 전 세계가 혼란에 빠졌을 때 백신에 IC칩이 박혀 있다는 가짜 뉴스가 퍼져 사람들이 백신 주사를 거부하는 사태가 벌어졌다. 2011년 중국 쿤밍시에서는 직원들조차 자신이 애플 매장에서 일한 줄 알았을 정도로 진짜와 비슷한 가짜 애플 매장이 20곳 이상 발각됐다. 미국 미시건 대학교에서는 오랫동안 보물 대접을 받아온 갈릴레오의 1610년 메모가 위조문서라는 사실이 밝혀져 사회에 큰 충격을 안겼다. 현대인들은 거짓말이 판치는 세상을 살아가고 있다. '우리는 왜 페이크에 속는가?'는 진화심리학의 관점에서 페이크 문제의 원인을 짚고 그 대처법을 알려주는 책이다. 저자는 페이크에 맞설 방법으로 ▲확증뿐만 아니라 반증도 살펴보기 ▲인과관계를 파악하는데 신중해지기 ▲제품의 효과를 판단할 때는 비교·분석해보기 ▲이론은 어디까지나 가설이라고 생각하기를 제안한다. 248쪽. 1만7000원.

 

◆해석노동

 

양정호 지음/생각비행

 

을(乙)이 을을 비방하고 손가락질하는 일이 만연한 대한민국은 '해석노동'에 길든 사회다. 해석노동은 자신을 타자에게 종속시키려는 성향이 습성화된 심리노동을 의미한다. 책은 해석노동을 강요하는 문화가 강한 조직에서는 공감을 악의적이고 전략적으로 해석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한 도구로 삼을 위험성이 크다고 경고한다. 경쟁이나 서열을 최우선시하는 조직에서는 공감의 노력이 아래를 향하지 않는다. 저자는 "권위에 대한 복종과 순응이 일상화된 사회에서 해석노동에 익숙해지면 편협한 사고를 갖기 쉽다"며 "해석노동을 수행하는 당사자는 수혜자인 상급자를 비판하는 대신 자신보다 약한 동료나 하급자에게 책임을 전가하고 불합리한 행태를 그대로 전수한다"고 지적한다.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한 우리 사회의 비굴한 민낯을 까발리는 책. 172쪽. 1만6000원.

 

◆착하게 사느라 피곤한 사람들

 

화양 지음/송은진 옮김/시그마북스

 

남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는 사람, 거절당할 게 두려워 도움을 요청하지 못하는 사람, 여러모로 부족하다고 느껴 자주 반성하는 사람들은 착하게 살았는데 인생이 엉망이 됐다고 느낄 때가 많다. 이처럼 타인을 기쁘게 하기 위해 자신을 낮추고 사는 성향을 가진 사람들을 '피플 플리저'라고 부른다. 저자는 피플 플리저를 '나약함', '자기 억압', '열등감과 나르시시즘', '좋은 사람 콘셉트', '인정', '안전감', '감정 억압', '자기 비난'이라는 8가지 키워드로 묶어 설명한다. 책은 타인의 입맛을 맞추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피플 플리저의 내면을 탐구하고 이들이 건강한 관계의 기술을 통해 고통을 극복하고 '진정한 나'로 살아갈 수 있게 돕는다. 298쪽. 1만7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