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대신·교보증권, 종투사 도전장...사옥 팔아 승부수?

국내 증권사 자본총계 순위(2023년 2분기 기준) /금융투자협회

증권사들이 자기자본을 확대해 몸집 키우기에 나서고 있다. 금융당국의 규제 완화 등이 종합금융투자사업자(종투사) 위주로 형성되면서 그 수혜를 입기 위해서다. 대신증권은 사옥 매각을 결정했으며, 교보증권은 유상증자를 단행했다.

 

24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대신증권이 종투사에 도전장을 내밀었으며, 교보증권도 발걸음을 재촉하고 있다.

 

교보증권은 22일 사업경쟁력 강화와 동시에 종투사 인가 조기 추진 의지를 밝히며 25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실시한다고 전했다. 올해 2분기 말 기준으로 교보증권의 자기자본은 1조6179억원이며, 이번 유사증자를 통해 1조8679억원으로 증가한다.

 

교보증권 관계자는 "종투사 추진을 위한 앞당기기 위한 하나의 발판 정도"라며 "자기자본 3조까지는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당장 구체적인 달성 계획이 있다기보다는 유상증자를 시작으로 기존 사업과 신사업 투자·강화에 힘쓸 것"이라고 설명했다.

 

자기자본 10위에 해당하는 대신증권도 지난달 서울 중구의 본사 사옥 매각을 결정하며 종투사 도전 의지를 굳혔다. 시장의 예상 매각 금액은 6500억~7000억원 수준이다. 대신증권은 현재에도 2조1007억원 가량의 자기자본을 보유하고 있으며, 올해 실적 흐름도 긍정적으로 평가되고 있기 때문에 종투사 인가 가능성이 주목된다.

 

대신증권 관계자는 "기존에 보유하고 있던 국내 부동산도 재평가해 반영할 예정이며, 나쁘지 않았던 상반기 실적에 따른 유보 금액도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대신증권은 최근 열린 경영회의를 통해 내년 상반기 내 종투사 신청한다는 내용의 경영 목표를 설정했다고 알려진 바 있다.

 

증권사들이 종투사 인가를 받기 위해서는 자기자본 3조원의 우선 조건을 충족해야 한다. 이후 종투사 인가를 받으면 헤지펀드에 자금 대출이나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는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 등이 가능해진다.

 

특히 기업 신용공여 한도가 자기자본 100%에서 200%이내로 확대된다는 강점이 있다. 연초 16조5310억원이었던 신용거래융자 잔고는 이달까지 4조원 가량 증가하면서 22일 기준 20조1883억원으로 집계됐다. 신용거래가 늘어나고 있는 만큼 신용공여 한도 증가는 영업이익 측면에서 유리하다. 자기자본이 높을수록 투자자에게 빌려줄 수 있는 자금이 증가하면서 이자수익이 늘어나는데, 종투사가 되면 그 수익을 확대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신용공여 한도가 100%에서 200%로 늘어나기 때문에 기업금융(IB)이라든가 다양한 사업을 진행할 때 선택의 폭이 넓어진다"며 "최근에는 일반 환전 업무도 종투사까지 허용됐기 때문에 수익을 넓히는 측면에서는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사실상 환전 업무는 자기 자본과 전혀 상관없는 비즈니스임에도 당국의 규제 완화 등이 종투사 위주로 흐르고 있다"고 덧붙였다. 사실상 중소형사들이 수익 성장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종투사 도전이 필수적인 셈이다.

 

실제로 종투사들의 순이익은 증권사들의 평균을 웃돌고 있다. 현재 종투사는 ▲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삼성증권 ▲하나증권 ▲KB증권 ▲메리츠증권 ▲신한투자증권 ▲키움증권 등 9곳으로 이들의 상반기 평균 당기순이익은 약 4422억원이다. 다만 한국투자증권이 올해 상반기 1조9579억원 규모의 높은 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대신증권과 교보증권은 각각 1194억원, 465억원 등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