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2030 빚폭탄 우려↑…시중은행서 인뱅으로 '우르르'

차주 연령대별 가계 신용대출 신규취급액./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

2030세대가 인터넷은행으로 대거 몰리면서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청년층 대부분이 중저신용자인 데다 최근 금리 인상 기조까지 이어지면서 빚을 갚지 못하는 청년들이 급증하고 있어서다. 이 때문에 2030세대의 '빚 폭탄'이 우리 경제의 뇌관이 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윤창현 국민의힘 의원실이 최근 내놓은 가계 신용대출 현황 분석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의 20대 청년층 신용대출 신규취급액은 6조6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1조9000억원으로 71% 급감했다. 신용대출 잔액도 8조원에서 지난해 말 5조원 규모로 대폭 축소됐다. 이 기간 신용대출 신규 차주 중 20대는 30만2000명에서 12만6000명으로 줄었다.

 

반면, 같은 기간 인터넷은행(카카오뱅크·케이뱅크·토스뱅크 등)의 20대 신용대출 신규취급액은 5000억원에서 지난해 말 3조5000억원으로 급증했다. 신용대출 잔액도 4000억원에서 2조3000억원으로 3배 넘게 증가했다.

 

특히 신규차주 중 20대는 2만6000명에서 32만1000명으로 16배가량 늘었다. 지난해 말 청년층이 신용대출 신규차주의 30%를 차지했다. 인터넷은행에 청년층이 몰린 것은 시중은행보다 대출 문턱이 낮기 때문이다.

 

시중은행의 20대 청년층 기준 고신용자(보유차수 기준 850점 이상) 비중은 신용대출 중 지난해 말 60%에 달했다. 반대로 지난해 말 인터넷은행의 20대 고신용자의 비중은 29%에 그쳤다.

 

연령별 채무조정 신청자 수 및 비중./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

문제는 청년층의 대출 규모는 확대되고 있지만, 빚을 갚을 능력은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30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상반기 생애 첫 부동산 매수자는 20만명에 육박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는데, 30대가 40% 가까이 차지했다. 이에 따라 주택담보대출도 5개월 연속 증가했으며 덩달아 가계대출 잔액도 역대 최고치를 경신했다.

 

하지만 빚을 제 때 갚지 못해 채무조정을 신청한 세대도 대부분 2030이 차지했다.

 

신용회복위원회가 윤영덕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4월 채무조정제도 신규 신청자는 6만3000여명에 달했다. 이 가운데 2030대는 2만2000여명으로 35.4%를 차지했다.

 

특히 20대 신청자가 급증했다. 20대 신청자는 2020년 1만4125명에서 2021년 1만4708명, 2022년 1만7263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올해 1~4월 신청자 중 20대는 8043명으로, 3개월 만에 지난해 신청 인원의 절반에 달했다.

 

30대 신청자도 지난해 3만1202명으로 전년 대비 19% 증가했으며 올해 상반기 신청자만 1만4345명에 육박했다. 이런 추세라면 올해 채무조정을 신청하는 청년층은 지난해 대비 60%가량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최근 청년층의 연체율이 증가하면서 이들의 부실 대출 문제가 현실화되고 있다.

 

양경숙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금융감독원을 통해 받은 '19개 은행의 연령별 주택담보대출 연체율 현황'에 따르면 2분기 말 기준 만 20대 이하 주담대 연체율은 0.44%로 집계됐다. 전 연령 평균 연체율인 0.21%의 두배 수준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한국은행도 2030 청년층들의 부실 대출 문제를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발표한 만큼, 청년층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