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소비자금융>저축은행

저축銀 상반기 적자 전환 "기우일까?"…하반기 전망 엇갈려

저축은행, 하반기 기상 '맑다'...이자부담 덜어 수익성 높일 것
금융업계, 반등요인 없어..."지금보다 나빠지지는 않을 것"

저축은행이 9년 만에 반기 적자를 기록하면서 하반기 전망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뉴시스

저축은행이 9년 만에 반기 적자를 기록한 가운데 하반기 전망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반등에 성공할 것이란 목소리와 '보릿고개'가 다음 해까지 유지될 것이란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 상반기 전국 저축은행 79곳의 순손실은 962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동기 대비 순이익이 9918억원 줄었다. 금감원은 예대금리차 축소와 대손비용 증가 등 '이중고'에 수익성 악화를 피하기 어려웠다고 설명했다. 연체율은 5.33%로 지난해 상반기 대비 1.92%포인트(p) 올랐다.

 

당초 금융권에서는 올해 저축은행의 수익성 악화를 예고한 바 있다. 지난해 기준금리 상승기에 고금리 정기예금을 대거 출시하면서 이자 부담이 확대된 탓이다. 지난해 11월 저축은행 정기예금(1년물)의 평균 금리는 연 5.53%까지 치솟은 바 있다. 저축은행 정기예금 평균금리가 연 5% 중반을 돌파한 것은 지난 2009년 2월(연 5.92%) 이후 13년 만이다.

 

저축은행권에서는 하반기 업황이 개선될 것이라며 소비자를 안심시키고 있다. 정기예금 금리를 시중은행과 1.0%p 안팎으로 유지하면서 '금리 다이어트'를 시도하고 있어서다. 통상 저축은행은 자금 조달을 위해 시중은행 대비 정기예금 금리를 1~2%p 높게 책정한다. 올해는 가산금리 수준을 낮춰 이자 부담을 덜어내겠다는 전략이다.

 

한 저축은행 관계자는 "지난해 11월과 비교하면 조달속도가 떨어졌지만, 양호한 수준으로 자금을 조달하고 있다. 지금보다 상황이 악화 하더라도 당국이 제시한 가이드라인보다 건전하게 유지할 수 있는 상황이다"라고 했다.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저축은행의 유동성 비율은 177.1%로 금융당국이 권고하고 있는 100% 보다 높은 수치를 유지하고 있다. 연체율 또한 5%선으로 과거 저축은행 사태 당시 20%를 돌파한 것과 비교하면 4배가량 낮다.

 

반대로 올해 저축은행의 업황이 다음 해까지 이어질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조달비용 절감만으로 적자폭을 회복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어렵다는 것이다. 특히 저축은행의 주 먹거리인 리테일(소매금융)과 주택담보대출 수요가 증가할 만한 요인은 부족한 상황이다.

 

유동성 리스크도 경계해야 한다. 은행권이 자금 조달을 위해 연 4% 선의 정기예금을 출시했기 때문이다. 이자비용 부담을 위해 조달에 소극적으로 나서면 은행권으로 자금이 쏠릴 가능성도 커진다.

 

지난 29일 기준 은행권에서 가장 높은 금리를 제공하는 상품은 SC제일은행의 'e-그린세이브 예금'이다. 연 4.1%로 저축은행권의 정기예금 상단(4.5%)과의 격차는 0.4%p에 불과하다. 예금자보호 한도인 5000만원을 맡기면 1년 뒤 약 17만원 차이가 나는 수준이다.

 

한 금융업계 관계자는 "지금보다 상황이 악화하지 않겠지만 마땅히 반등할 만한 요인도 없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