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금융일반

금융위 "핀테크 기업 글로벌 진출 강화…현지금융사와 협업·매칭 제공"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금융위원회

"핀테크 기업들의 글로벌 진출을 지원하겠다."

 

김소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은 30일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에서 열린 코리아핀테크위크2023에 참석해 이 같이 말했다.

 

금융위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핀테크 기업수는 2019년 345개에서 2021년 553개로 60% 증가했다. 이들기업의 사업 평균 매출액은 같은기간 70억원에서 179억원으로 155.7% 늘었다.

 

김 위원장은 "지금까지 금융혁신이 가능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 제도를 개선하고, 인프라를 구축해왔다"면서도 "초기 구축한 인프라와 사업모델들이 안정화되면서 핀테크의 다양성과 혁신이 정체되는 만큼 재도약을 위한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 핀테크 기업들이 글로벌 진출이 가능하도록 실질적으로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는 "핀테크 기업의 경우 인적·물적 인프라가 부족한 만큼 해외 현지정보와 해외진출 거점을 제공하겠다"며 "현지 금융회사와 해외 투자자와의 협업·매칭을 지원하고,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한 해외인력 풀(Pool)을 공유하겠다"고 했다.

 

국내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이 협업할 수 있도록 제도개선도 추진한다.

 

김 부위원장은 "금융회사가 핀테크 기업의 정보와 기술력을 활용하는 B2B 분야는 핀테크 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이 될 수 있을 것"이라며 "협업이 가능할 수 있도록 본질적 업무에 대한 위탁을 허용하고, 업무범위를 조정하는 등 업무 위·수탁 제도를 개선하겠다"고 말했다.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을 활용할 수 있도록 규제도 검토한다.

 

김 부위원장은 "핀테크 기업들이 가명정보를 활용하거나, 합성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 등을 마련하겠다"며 "핀테크 기업들이 데이터 결합을 신속하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이날부터 3일간 열리는 코리아핀테크위크2023은 '미래의 핀테크와 만나다'라는 주제로 열린다.

 

첫날에는 올해 핀테크 정책과, 주요 국제기구의 합동 핀테크 세미나를 들을 수 있다

 

둘째날에는 글로벌 트렌드와, 블록체인 등 디지털 지급수단과 관련한 세미나가 진행된다. 핀테크 스타트업은 1대 1 카운슬링도 받을 수 있다.

 

셋째날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금융이야기아 핀테크 혁신환경 조성을 위한 세미나가 진행된다. 핀테크 기업의 투자유치를 위한 IR 피칭데이도 진행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