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초등생~대학생 '잘파세대', 10명 중 8명 용돈남겨 재테크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잘파세대 분석 보고서
잘파세대 68% "금융도 조기 교육 필요"
중학생부터 주식투자 관심사

/하나은행 하나금융연구소

1990년 중반부터 2000년 초반 출생한 이들을 말하는 '잘파세대'는 부모의 경제적 지원이 충분하고 어렸을 때부터 금융·경제 이슈에 대한 관심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은행 하나금융경영연구소는 30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잘파세대의 금융 인식과 거래 특징의 이해' 보고서를 발간했다. 잘파세대는 1990년 중반에서 2000년대 초반에 태어난 Z세대와 2010년 초반 이후에 태어난 알파세대의 합성어로, 현재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대학생에 이르는 젊은층을 가리킨다.

 

◆ 잘파세대, 용돈남겨 재테크

 

알파세대를 포함한 잘파세대는 인생 주요 과업인 학업과 시험, 교우관계에 대한 관심만큼 앱테크, 용돈 추가 마련과 같은 금융 이슈에도 관심이 높다는 분석이다.

 

잘파세대는 '금융경제 교육이 주요 교과목 만큼 중요하므로 조기교육이 필요하다'는 항목에 68%가 동의할 정도로 앱테크, 용돈 추가 마련 등 금융 이슈에 대해 높은 관심을 가졌다. 다만 ▲금융거래 연령제한 ▲용돈 부족 ▲금융 용어·지식의 어려움 등으로 관심 만큼 실천이 뒤따르지는 못했다.

 

잘파세대 10명 중 8명이 용돈을 받고, 앱테크로 추가 용돈도 마련하며 받은 용돈의 일부를 남겨 저축을 생활화하고 있다. 특히 알파세대는 중고등학생보다 용돈은 적지만 더 많은 용돈을 남기고 더 규칙적으로 저축하는 등 성실한 금융 생활을 실천하는 모습을 보였다.

 

알파세대의 바른 금융생활은 부모의 영향이 컸다. 알파세대는 금융 의사결정 시 본인(44%)보다 부모의 영향력(56%)을 더 높게 인식하고 용돈 관리 시 부모의 도움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알파세대 10명 중 6명이 부모와 같은 금융사를 거래하길 원하고, 실제 같은 주거래은행을 이용 중이다.

 

◆ 중고생, '인터넷은행' 선호

 

잘파세대들은 '은행 인식'과 '금융 거래'에 있어 다른 양상을 보였다.

 

알파세대의 경우 가장 많이 알고 있는 은행 브랜드는 시중은행이었다. 이들이 처음 거래를 시작한 곳도 시중은행이 75%에 달했다. 부모 동반거래 경향이 큰 알파세대는 여전히 모바일 금융기관보다 시중은행이 각인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중·고등학생 때부터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중·고등학생이 가장 많이 인지하는 브랜드는 시중은행이 아닌 인터넷전문은행이었고, 처음 거래를 시작한 금융기관도 인터넷 전문은행이나 유스앱이 46%를 차지했다.

 

보고서는 "청소년 특화 앱으로 중고등학생의 거래가 앱 기반으로 급변했다"고 설명했다.

 

알파세대도 그렇지만 특히 Z세대의 금융거래에서 모바일 앱의 영향력은 절대적이었다. 최근 3개월 동안 잘파세대의 70% 이상이 모바일뱅킹이나 핀테크·빅테크 앱을 이용한 경험이 있다.

 

반면 알파세대는 자동화기기(ATM)이용률이 가장 높고 모바일뱅킹과 핀테크 앱은 20% 정도에 그친다. 다만, 중학생 이상 Z세대는 유스앱 이용 경험률이 90%에 달하는 등 모바일뱅킹과 핀테큽 앱의 이용율이 급증했다.

 

특히 선호하는 금융상품은 초등학생의 경우 카드 발급(26.0%), 자투리적립상품(21.0%) 등을 답한 반면 중·고등학생들은 주식투자(25.6%)에 가장 큰 관심을 보였다. 대학생들도 주식투자라고 답한 경우가 22.7%로 가장 많았고, 이어 적금(18.3%), 입출금 통장(15.0%) 순이었다.

 

◆ 알파세대 부모 금융교육 관심↑

 

알파세대의 부모 역시 금융 교육에 대한 관심도가 높았다.

 

알파세대의 부모는 자녀에게 직접 금융관리를 맡기는 이유 1위가 금융교육 때문(41%)인 것으로 나타났다. 자녀 금융교육에 관심이 높고 교육 콘텐츠도 돈·금융상품 개념설명, 다양한 금융체험처럼 수준 높은 품질을 요구한다. Z세대로 넘어가면 모의투자 대한 니즈가 높아지고, 환율·금리, 글로벌 경제를 포함한 금융·경제 원리 공부로 관심 범위가 확대된다.

 

황선경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수석연구원은 "세대 관심이 MZ에서 잘파로 이동해 가고 있지만 환경이 급변하는 만큼 알파와 Z를 하나의 동질집단으로 묶어 해석하면 정교함이 떨어질 수 있다"며 "미래 은행의 기반손님 관점에서 잘파세대에게 접근할 때 알파부터 시작해 시기별 변화 관리로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