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교육

작년 대학이 대학생 1인당 교육 1850만원 투자…전년 대비 8.7% 증가

교육부, 2023년 8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 발표

2020~2022년 학생 1인당 교육비 추이와 2022년 학생 1인당 교육비 현황(만원)/교육부 제공

지난해 대학들이 대학생 교육 여건 조성을 위해 투자한 1인당 교육비는 1850만원으로 전년 대비 150만원 가량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대학생 한 명이 받은 연 평균 장학금은 358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7.4% 증가했다.

 

교육부(부총리 겸 교육부장관 이주호)와 한국대학교육협의회(회장 장제국)는 31일 총 4년제 일반 및 교육대학 193개교 학생 1인당 교육비, 장학금, 전임교원 연구비 등을 분석한 '2023년 8월 대학정보공시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2020~2022년 장학금 총액 추이와 2022년 전체 장학금 구성/교육부 제공

■ 학생 1인당 교육비 전년 比 8.7%↑…연간 장학금 학생 1인당 358만

 

지난해 일반 및 교육대학의 학생 1인당 교육비는 1850만8000원으로 1703만3000원이던 1년 전보다 8.7% 증가했다.

 

학생 1인당 교육비는 재학생을 기준으로 학교가 학생의 교육과 교육여건의 조성을 위해 투자한 비용으로 인건비, 운영비, 장학금, 도서구입비, 실험실습비, 기계기구매입비 등을 포함한다.

 

국공립대학의 경우 2280만7000원으로 전년(2058만6000원)보다 10.8%, 사립대학은 1713만5000원으로 전년(1589만9000원)보다 7.8% 증가했다.

 

수도권대학은 2039만7000원으로 전년(1868만8000원)보다 9.1%, 비수도권대학은 1697만7000원으로 1년 전보다 8.0% 증가했다.

 

전체 장학금 총액은 4조7822억원으로 전년보다 2470억원(5.4%) 증가했다.

 

재원별 구성을 살펴보면, 국가 재원으로 지급하는 교외 장학금인 국가장학금이 3조408억원으로 전체 63.6%를 차지했으며, 교내 장학금은 1조5822억원(33.1%)으로 집계됐다.

 

학생 1인당 장학금은 전년 대비 7.4% 증가했다. 지난해 장학금은 연간 358만3000원으로 333만6000원이던 1년 전보다 24만7000원 늘었다.

 

설립 형태별로 살펴보면, 국공립대학은 290만9000원으로 전년(271만5000원)보다 19만4000원(7.1%), 사립대학은 378만4000원으로 전년(351만9000원)보다 26만5000원(7.5%)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수도권대학은 351만원으로 전년(329만8000원)보다 21만2000원(6.4%), 비수도권대학은 363만7000원으로 전년(336만3000원)보다 27만4000원(8.1%) 많은 장학금을 지급했다.

 

■ 재학생 12.9% 학자금 대출 이용…수도권·사립대 이용률 높아

 

지난해 한국장학재단 학자금 대출을 이용한 학생 수는 41만1093명으로 전년보다 1676명(0.4%) 증가했다.

 

이를 전체 재학생 수로 나눈 '학자금 대출 이용률'은 12.9%로 전년 대비 0.2% 높아졌다. 등록금이 비싼 편인 사립대(13.8%)가 국공립대(10.0%)보다, 수도권(13.6%)이 비수도권(12.3%)보다 이용률이 높았다.

 

일반상환 학자금 대출 이용자 수는 16만1591명으로 전년보다 1만425명(-6.1%) 줄어든 반면, '취업 후 상환 학자금 대출(ICL)'을 이용한 대학생은 24만9502명으로 같은 기간 1만2101명(5.1%) 증가했다.

 

2020~2022년 연구비 총액 추이와 2022년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만원)/교육부 제공

■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 10%가량 증가…교비회계 적립금 8조 규모

 

지난해 교수들이 연구 목적으로 정부나 민간, 교내 등에서 받은 연구비는 총액은 7조9517억원으로 전년(7조3242억원) 대비 8.6% 증가했다.

 

전임교원 1인당 연구비도 1억1164만3000원으로 1년 전보다 983만4000원(9.7%) 증가했다. 국공립(1억4313만원)이 사립(1억9만원)보다, 수도권(1억5079만원)이 비수도권(8020만원)보다 많았다.

 

지난해 사립 일반대의 교비회계 적립금은 총 8조3518억원으로 1년 전과 견줘 2165억원(2.7%) 늘었다.

 

적립금은 건축, 장학금, 연구, 교직원 퇴직금 등 특정 목적을 위해 예치해 두는 자금이다. 기금 용도별로는 건축이 46.7%로 가장 많았으며 ▲특정목적(26.7%) ▲장학(16.8%) ▲연구(8.7%) ▲퇴직(1.0%) 순이었다.

 

전체 사립대는 지난해 기부금 총 6788억원을 모금해 1년 전보다 1051억원(18.3%) 늘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