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대통령실

尹, 인니·인도에서도 세일즈외교…"'수출 마이너스' 종지부 모멘텀될 것"

윤석열 대통령이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인도-태평양 역내 한국의 역할 및 위상 강화라는 외교적 성과와 함께 세일즈 외교에도 박차를 가한다. 윤석열 대통령과 부인 김건희 여사가 지난 7월 10일 4박 6일 일정으로 리투아니아·폴란드 순방에 나서기 위해 경기도 성남 서울공항에서 공군 1호기에 탑승 전 손 흔들어 인사하고 있다. /대통령실

윤석열 대통령이 오는 5일부터 11일까지 57일 일정으로 동남아시아국가연합(ASEAN·아세안) 정상회의와 주요 20개국(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인도-태평양 역내 한국의 역할 및 위상 강화라는 외교적 성과와 함께 세일즈 외교에도 박차를 가한다.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번 아세안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네시아(인니)와 G20 정상회의가 열리는 인도 모두 올해로 수교 50주년을 맞이하는 협력국이다.

 

더욱이 인니는 아세안 회원국 중 경제 규모가 가장 크고, 인도는 인구수를 비롯해 성장 잠재력이 가장 큰 나라로 꼽히는 만큼 윤 대통령이 양국 순방을 통해 세일즈 외교 성과를 거둘 것으로 기대된다.

 

윤 대통령의 이번 순방에서는 별도의 공식 경제사절단을 구성하지는 않았다. 다만, 한-인니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 참석을 위해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구광모 LG그룹 회장,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구자은 LS그룹 회장 등 양국 주요 기업 CEO 40여명이 동행한다.

 

앞서 최상목 대통령실 경제수석은 지난달 31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이번 순방의 경제 분야 키워드는 ▲수출시장 확대 ▲첨단산업공급망 다변화 ▲디지털 리더십 강화를 꼽았다.

 

최 수석은 "윤 대통령은 아세안과 G20 정상회의와 주요 정상들과의 양자회담을 통해 작년 11월에 발표한 '인도-태평양 전략'과 '한-아세안 연대구상'을 구체화해 나갈 계획"이라며 "다자회의이지만 다수의 양자회담과 별도 경제행사 등을 통해 경제외교에도 주력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먼저, 수출시장 확대와 관련 "아세안과 인도는 우리 수출의 21%를 차지하는 주요한 시장"이라며 "윤 대통령은 적극적인 세일즈 외교 활동을 통해 작년 10월 이후 계속돼온 '수출 마이너스 행진에 종지부'를 찍는 모멘텀을 만들어나갈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위해 윤 대통령은 아세안·G20 정상회의 계기에 다수의 양자회담을 통해 원전·방산·인프라 등 우리 유망 수출산업을 적극 홍보하고, 국가별 자유무역협정(FTA) 협상과 이행 상황을 점검과 우리 기업들의 진출 애로사항도 집중 제기할 예정이다.

 

또, 아세안 국가와 인도는 니켈 등 핵심 광물이 풍부해 공급망 다변화 차원에서 전략적 국가인 만큼 첨단산업 공급망 다변화에도 공을 들인다.

 

최 수석은 "우리와 전기차·배터리 공급망이 긴밀히 연계돼있는 인니·필리핀 등과 첨단산업 공급망 협력을 강화하는 한편, 아세안 7개국과 인도, 우리가 함께 참여하고 있는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에서의 공급망 공조방안도 논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윤 대통령은 디지털리더십 강화를 위해 아세안은 디지털 경제 진입에는 늦었지만, 그 어느 지역보다 디지털 전환 속도가 빠른 만큼 한-아세안 정상회의에서 아세안 국가들의 디지털 역량 강화 지원계획을 발표한다.

 

아울러 이번 윤 대통령의 인니 순방에서 6일(현지시간) 한-아세안 디지털 기업과 청년들이 모이는 '한-아세안 인공지능(AI) 유스(Youth) 페스타(Festa)'에 참석해 미래세대들의 교류를 지원하고 도전을 격려한다.

 

이어 7일 열리는 '한-인니 비즈니스 라운드테이블'에서는 그동안 인니와의 경제협력 성과를 평가하고, 공급망 강화, 글로벌 아젠다 대응, 미래세대 교류 등 새로운 50년을 위한 협력방안을 제시할 예정이라고 최 수석은 전했다.

 

이와 함께 윤 대통령은 10일 인도 진출기업 오찬 간담회를 통해 현지 진출 기업들이 현지에서 겪는 어려움을 청취하고, 한-인도 경제협력 확대방안을 함께 모색할 예정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