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정치>국회/정당

인재근, "올해 식중독 발생건수 전년대비 185% 증가"

식약처 자료 분석 후 예방책 마련 주문

최근 7년간('17 -'23.7) 1월부터 7월까지 식중독 발생 현황 (2022∼2023년은 원인·역학조사 최종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재근의원실 재편집

올해 7월까지 식중독 발생 건수가 2017년 이후 매년 같은 기간 발생 건수보다 현격하게 증가한 것으로 타나나 당국이 식중독 예방책 마련에 심혈을 기울여야 한다는 지적이 5일 나왔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인재근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식약처로부터 받은 최근 7년간 연도별 연도별·월별 식중독 발생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3년 1월부터 7월까지 식중독 발생 건수는 304건으로 전년대비 약 185% 증가했다. 또한 인재근 의원실은 올해 7월까지 식중독 발생건수가 코로나19로 인해 사회활동의 제약이 컸던 2020년과 2021년도에 비해서는 2배 이상 증가한 것으로 분석했다.

 

최근 7년간('17 -'23.7) 전체 대비 집단급식소 식중독 발생비율 / (2022∼2023년은 원인·역학조사 최종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재근의원실 재편집

2017년 이후 매년 식중독 발생 건수는 2017년 전체 336건 중 210건(65%), 2018년 363건중 188건(52%), 2019년 286건중 187건(65%), 2020년 164건 중102건(62%), 2021년 245건 중 135건(55%), 2022년 304건 중 164건(54%)이었다.

 

전체 식중독 발생 건수에서 학교를 포함한 집단급식소에서 발생한 비율도 최소 15%(2017년)에서 최대 35%(2023년 1월~7월)까지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집단급식소 식중독발생 세부현황을 확인한 결과 학교, 어린이집, 유치원 등 3개 분류장소에서 발생한 식중독 건수는 2023년 7월말 현재 88건으로 전체 107건 중 82%에 달했다.

 

식중독 발생의 원인균별 분석에 따르면, 전체 식중독 발생사례 중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발생 비율이 39%(118건)를 차지하는 것에 비해 집단급식소에서 노로바이러스로 인한 식중독 발생비율은 56%(60건)로 더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급식 관리에 있어 노로바이러스에 대한 더 세밀한 관리 강화가 필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 정보에 따르면, 노로바이러스는 소량의 바이러스로도 쉽게 감염될 수 있을 정도로 전염성이 높고 60도의 고온에서 30분 동안 가열해도 감염성이 유지될 만큼 저항성이 강하며 예방을 위해서는 철저한 손 위생이 가장 중요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7년간('17~'23.7) 장소별 집단급식소 식중독 발생 현황 / (2022∼2023년은 원인·역학조사 최종결과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식품의약품안전처, 인재근의원실 재편집

인재근 의원은 "식중독 발생사례가 증가한 것에 대해 특별히 경각심을 갖고 대응할 필요가 있다"며 "특히, 학교와 어린이집, 유치원 집단급식소의 식중독 발생을 예방하고 아동과 어린이의 건강과 발달을 지원하기 위해서 관계기관은 교육 및 관리 강화 등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한 "지구온난화로 인한 폭염과 폭우 등 환경변화로 인한 식품섭취 유의 및 식중독 예방안 마련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주문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