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돌아온 4%대 예금…은행에 12조 뭉칫돈

지난달 11일 서울 용산구에서 한 시민이 은행 ATM를 이용하고 있다./뉴시스
시중에 풀린 돈이 넉 달 만에 다시 늘었다. 수신금리 오름세에 가계의 정기 예적금이 크게 늘었고 반도체 경기 개선 기대감에 주식형 펀드 등에 자금이 쏠리면서다./뉴시스

"지난해 말과 비교하면 낮지만 자동이체만 걸어도 5%를 주는 예적금 상품이 이제는 안나올 것 같아서 알아보는 중이다."

 

최근 4%를 넘는 예금 상품이 다시 늘어나면서 시중은행의 예금 잔액이 한달 새 10조원 넘게 몰렸다. 특히 예금금리 상승세가 지속되지 않을 것이란 전망에 금융소비자들이 '안전자산'에 쏠리는 분위기다.

 

5일 은행연합회에 따르면 정기예금(만기 12개월) 36개 상품 가운데 5개가 최고 4%대 금리를 제공한다. 최고금리가 3.5% 이상인 상품도 31개였다.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중에서는 ▲우리은행 '우리SUPER주거래적금' 4.65% ▲KB국민은행 'KB반려행복적금' 4.5% ▲NH농협은행 'NH고향사랑기부적금' 4.3% ▲신한은행 '신한 알·쏠 적금' 4.3% 등이 4%대를 넘어섰다.

 

지방은행별로는 ▲DGB대구은행의 'DGB함께예금'(4.05%) ▲BNK부산은행 '더 특판 정기예금'(4.0%) ▲DGB대구은행의 'IM스마트예금'(4.0%) 등이 4%대 금리를 제공한다.

 

특히 BNK부산은행이 지난 7월 초 출시한 '너만Solo적금'은 기본금리 2.4%에 우대조건을 모두 충족하면 최고 8.9%의 금리를 준다. 이외에도 SC제일은행 'e-그린세이브예금'이 최고 연 4.1% 금리를 제공하며 Sh수협은행의 '첫만남우대예금'이 4.02%의 금리를 준다.

 

이자율이 오르는 이유는 지난해 말에 몰린 예적금 만기가 돌아오자, 은행권이 고금리 상품을 통해 자금 확보에 나서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최근 미국의 국고채 금리가 오른 것도 이자를 끌어올렸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추가 긴축할 것이란 전망에 지난달 말 미국 10년 만기 국채 금리가 4.35%를 돌파했다. 미 국채 영향을 받는 국내 은행채도 동반 상승한 것.

 

이처럼 최고 금리가 4%를 넘는 예금 상품이 재등장하면서 은행권의 수신고는 한달 간 12조 가까이 급증했다.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의 지난달 말 기준 정기예금 잔액은 844조9671억원으로 한 달간 11조9859억원 급증했다. 은행권의 정기예금은 두달 연속 10조원이 넘어서고 있다.

 

실제 지난 4월 4444억원을 시작으로 ▲5월 11조8088억원 ▲6월 4조6827억원 ▲7월 10조7070억원 ▲8월 11조9860억원이 들어왔다.

 

적금도 증가세다. 지난달 정기적금 잔액은 42조2814억원으로 1조294억원 늘었다. 지난 4월 8970억원 늘어난 이후 5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다.

 

다만, 예금금리의 상승세가 지속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이 낮은 데다 은행권도 자금이 필요한 상황은 아니라는 분석에서다.

 

실제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정기예금 가중평균금리(1년 만기 기준)는 지난 4월(3.51%) 이후 ▲5월 3.59% ▲6월 3.76% ▲7월 3.81% 등 오르고 있지만 상승세가 둔화하고 있는 모습이다.

 

금융당국도 은행들의 고금리 특판 등의 과잉 경쟁에 제동을 걸고 있다.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달부터 금융권 상품 경쟁이 과열되고 있다"며 "은행권에 과잉 경쟁을 자제하고 연체율 등 건전성 강화에 주력해 달라고 요청하는 중이다"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