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김영섭 KT 대표 "올해 구조조정 단행하지 않겠다"..."인사는 11~12월 경 될 것"

김영섭 KT 대표는 기자들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올해는 구조조정을 단행하지 않겠다"는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채윤정기자

김영섭 KT 대표는 시장에서 본인이 '구조조정 전문가'로 KT에 대규모 구조조정이 있을 것으로 예상하는 것에 대해 "CEO가 바뀔 때마다 수천명에 이르는 구조조정을 단행했는데 이 같은 구조조정은 생각하고 있지 않다. 올해는 구조조정을 단행하지 않겠다"며 단호한 입장을 밝혔다.

 

김영섭 대표는 7일 르메르디앙 서울 명동에서 가진 기자간담회를 통해 "올해 인사는 여러 문제를 걷어내고 KT인들이 마음을 합해 출발해야 하는 상황이다. 연간 인사는 11~12월에 하게 되고 가급적 공백이니깐 빠르게 하고 싶지만 회사 내 사정이 있어서 적절한 시점에서 인사를 해야 할 듯 하다. 구조조정에 대한 질문을 많이 받는데 현재는 위계적인 구조조정을 해야 하는 상황은 아니다"고 평가했다.

 

김 대표는 외부에서 인사를 많이 영입할 것이며 LG 출신이라 LG에서 인사를 데리고 올 것이라는 예상이 나오는 데 대해 "합리적인 수준에서 인사를 단행할 것이며, 누가 봐도 이상하다 이해 못 하겠다는 것은 생각지 않고 있다. 훌륭한 성과를 낼 수 있는 인재가 KT 내에 있으면 좋다. KT 내의 훌륭한 사람을 선택해 보직을 맡기고 성장의 길을 가도록 하겠다. LG 사람을 데리고 오는 것은 생각하지 않고 있다. LG 내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 생각나지 않는다. KT 중심으로 가고, 외부에서 영입해도 LG 사람은 아닐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KT가 생각하는 신규 사업에 대해 "KT는 텔코 사업에서 오랫 동안 기술 수준 1등을 기록하고 있다. 텔코 전반의 역량은 IT 역량이 충족되면 진출할 수 있는 새로운 영역들이 많이 나타난다. 스마트시티 등이 초기 단계에 있는 것으로, IT 분야와 결합해 주도적으로 나갈 수 있으면 성장 원동력은 무궁무진하다"고 말했다.

 

그는 "외부에서 카르텔이라는 얘기가 많이 나왔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 인사조치가 첫번째로, 조직 문화를 어떻게 바꿀 건인가" 하는 질문에 대해 "항간에 저 사람은 누구 줄이다, 누구 편이다라는 얘기가 퍼져 있다. 좀 전까지는 어땠는지 잘 모르겠지만 역량의 고도화, 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우수하게 협업하는 조직을 만들 생각이다. 성과를 잘 내는 사람들이 인재다. 지향한 바를 새롭게 설정할 것이고 그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최대한 KT 다운 것을 지향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김 대표는 향후 M&A 계획을 묻는 질문에 대해 "스타트업 인수를 필요한 수준까지는 하겠지만 인수를 많이 해서 큰 회사를 만들고자 하는 생각은 거의 없다. 전문 영역에서 최고로 잘 하는 조직들하고 고수 다운 에코시스템 협력관계를 원활하게 구축할 것이다. 우리가 가진 역량을 주고 역량을 받아온다면 역량이 곱하기가 되서 기하급수적으로 올라가게 된다. 그런 형식으로 도모를 해야 경쟁요소가 속도전으로 바뀌고 살아남을 수 있다. 그런 것들을 실행에 옮기는 것이 변화인데, 변화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사람이다"는 입장을 밝혔다.

 

구현모 전 KT 대표가 추진했던 디지코(DIGICO) 전략에 대해서도 그는 "IT 역량을 CT와 통합해서 수준을 높이는 것이다. 디지털 서비스, 디지털 플랫폼 KT의 디지코 전략은 유효하다"고 말했다. 큰 틀에서 로드맵의 변화는 없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KT 문화에 대해 "KT는 오랫 동안 사람들이 품어온 자부심이 많다. 좀 더 분발해서 새로운 기술이나 이런 것을 빠르게 받아들이고 창의적인 가치를 선도적으로 발표할 수 있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큰 방향도 전환을 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대표는 또한 정부의 통신비 인하 요구에 대해 "고민을 해봐야 한다. 수용 가능한 범위 내에서 의견을 모아야 한다"는 신중한 입장을 밝혔다.

 

그는 또한 통신 분야의 과제에 대해 "통신의 혁신도 IT 역량에 의해 좌우된다. 통신도 과제가 많지만 젤 우선적인 과제가 IT 역량과 빠른 시간 내에 섞이면 통신역량도 배가 된다. 대표이사를 맡고 나서 좋은 정책을 정부가 하라고 들이밀기 전에 좋은 정책을 만들어 많이 하면 좋겠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또 주가와 주주 환원 정책에 대해 "주주에게 가장 기쁜 소식은 주가가 계속 오르는 것이다. 매출과 영업이익이 커지는 것이 장기적으로 통합성을 가져야겠지만 매출과 영업이익이 주가에 미치는 영향이 장기적으로는 없다. 아마존은 어마어마한 적자를 냈음에도 미래에 대한 성장 가능성이 커 높은 주가를 형성하고 있다. 상황에 맞춰 유연하게 정책을 구사하겠지만 기본적으로 성장 에너지를 축적하고 주가를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 시간이 걸리겠지만 이를 베이직으로 해낼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