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부동산>부동산일반

10명 중에 6명 '전세' 선호...“역전세 우려 감소 영향”

직방, 앱 접속자 대상 설문조사
전셋값 회복세 이어지면서 역전세 우려 감소
“선호지역 중심으로 전셋값 상승 계속될 것”

서울 남산에서 바라본 아파트 단지 모습./뉴시스

임차인과 임대인 10명 중 6명은 월세보다 전세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역전세 우려가 다소 줄면서 1년 전보다 전세를 선호하는 비율이 소폭 늘어난 것으로 분석된다.

 

11일 부동산 플랫폼 업체 직방이 애플리케이션 이용자 636명을 대상으로 현재 선호하는 주택 임대차 거래 유형을 물어본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60.4%(533명)가 전세 거래를 선호한다고 응답했다.

 

지난해 8월에 동일한 질문으로 조사한 결과에서는 전세와 월세 선호 비율이 각각 57.0%, 43.0%로 조사됐다. 1년 전에 비해 전세 거래 선호 응답 비율은 17.4%포인트(p) 늘고, 월세 선호 비율은 3.4%p 감소했다.

 

월세 임차인은 여전히 월세 거래를 선호하는 비율이 더 높았지만, 작년에 비해 전세 거래를 선호한다는 응답 비율이 10.7%p 상승했다. 반면, 임대인은 지난 2020년, 2022년 조사와 달리 월세 거래를 선호한다는 응답 비율이 지난해보다 17.4%p 높게 나왔다.

 

2020년~2023년 선호하는 주택 임대차 거래 유형./직방

임차인이 전세를 선호하는 이유는 '매월 부담해야 하는 고정지출이 없어서'가 55.1%로 가장 많았다. 임대인이 월세를 선호하는 이유는 '매월 고정적인 임대수입이 있어서'가 56.5%로 가장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함영진 직방 빅데이터랩장은 "2년 전에 비해 월세 거래를 선호하는 비율이 크게 증가했던 것과 달리 올해는 다시 소폭 전세 거래 선호 응답 비율이 증가했다"면서 "작년의 역전세 공포가 누그러지면서 전세 선호 임차인이 다시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최근 전셋값의 회복세가 이어지면서 역전세 우려는 줄어들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의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을 보면 9월 첫째 주(4일 기준)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전주 대비 0.09% 상승했다. 지난해 7월 넷째 주(0.01%) 이후 상승 전환돼 7주 연속 오름세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공개시스템에 따르면 송파구 잠실동에 위치한 '리센츠'는 이달 전용면적 84㎡가 11억5000만원에 전세 거래됐다. 지난달 전셋값(11억원) 대비 5000만원 상승했다. 강남구 대치동에 위치한 '래미안대치팰리스'의 경우 이달 전용면적 94㎡가 19억2000만원에 전세 거래됐다. 지난 7월 전셋값(18억원)과 비교하면 상승률은 6.6%(1억2000만원)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전셋값 회복세가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백새롬 부동산R114 책임연구원은 "가을 이사철을 맞아 전세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정주 여건이 우수한 주거 선호지역을 중심으로 상승기조가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서울 외곽지역의 중저가단지까지 가격 오름폭이 점진적으로 확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