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문화>도서

[주말은 책과 함께] 연결된 위기 外

◆연결된 위기

 

백승욱 지음/생각의힘

 

책은 우크라이나 전쟁, 중국의 대만 점령, 한반도 핵위기는 모두 연결돼 있는 사건이며 대한민국이 위기의 핵심 장소로 바뀔 수 있다고 설명한다. 저자는 우크라이나 전쟁을 20세기 질서의 수립자들 사이에서 본격적인 갈등이 발생하기 시작한 근본적인 위기라고 진단한다. 고정된 냉전의 틀로 상황을 바라보는 것은 오독이며, 국제 정세의 새로운 변화를 포착하기 위해선 신냉전이라는 사고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것. 우크라이나 전쟁은 냉전 시기 '열전'에 대한 전쟁 억제 기제가 유럽 내에서 무너지고 있으며, 그 주축이었던 러시아가 중요한 도발자로 전환하고 있단 사실을 보여준다. 저자는 냉전에 대한 표준적 이해에 질문을 던지며 냉전체제를 기반으로 한 세계질서의 기틀이 해체되는 과정으로 현 위기를 바라봐야 한다고 말한다. 416쪽. 2만2000원.

 

◆한국영화가 사라진다

 

이승연 지음/바틀비

 

한국영화가 위기에 처했다는 말이 여기저기에서 들려온다. 책은 국내 영화산업의 침체가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와 OTT의 성장 때문만은 아니라고 진단한다. 묵은 폐단으로 인한 극장의 위기는 전부터 존재해왔고 팬데믹으로 문제점이 선명하게 드러났을 뿐이라는 것. 저자는 '스크린 독과점'과 '수직 계열화'로 대표되는 멀티플렉스들이 한국영화계를 병들게 한 주체라고 지적하며, 복합상영관 3사의 배를 불리는 데 쓰이는 돈을 '미래 영화감독'을 키우는 데 사용해야 한다고 말한다. 대기업의 영화 배급·상영 겸업 제한, 특정 영화 스크린 독과점 금지, 독립·예술영화 및 전용관 지원 제도화를 골자로 한 '포스트 봉준호법' 제정으로 감독들이 만든 영화가 관객을 만나고, 그들이 계속해 영화를 찍을 수 있게 하는 구조만이 한국영화계를 살릴 수 있다고 책은 강조한다. 332쪽. 1만9500원.

 

◆플라스틱 게임

 

신혜정, 김현종 지음/프란북스

 

인간에게 상상치 못할 편리함을 제공해왔던 플라스틱은 이제 우리에게 경험해보지 못한 고통을 주고 있다. 기후위기, 생태계 지각변동, 이 모든 문제의 시발점이자 종착점, 그 정점엔 플라스틱이 있다. 인간이 많은 제품을 생산하고 소비하면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공장의 수가 늘어난다. 기온이 오르고 해수면이 상승해 생명체가 견딜 수 없는 날씨가 이어지면 생태계는 파괴된다. 기후 위기를 넘어 기후 재앙을 목격하고 있는 현시점에서 더 많은 플라스틱을 소비해 최후의 종말을 맞을 것인지, 기업과 정부, 개인이 함께 제로웨이스트에 동참해 지구를 살리는 해피 엔딩을 그릴 것인지 선택할 때가 왔다고 책은 이야기한다. 348쪽. 1만8000원.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