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HMM-GS칼텍스, 국내 최초로 '바이오 선박유' 시범 운항

GS칼텍스로부터 바이오선박유 공급을 받고 시범 운항에 들어간 6400TEU급 컨테이너선인 'HMM 타코마호'/GS칼텍스

GS칼텍스와 해운사 HMM이 부산신항에서 바이오 선박유 시범 운항을 진행했다. GS칼텍스는 국내 정유사 가운데 최초로 바이오 선박유(B30 Bio Marine Fuel)를 실제 컨테이너선에 공급하게 됐다.

 

GS칼텍스가 공급한 바이오 선박유는 이날 부산신항 4부두에서 HMM의 6400TEU급 컨테이너선에 급유돼 부산~싱가포르~인도~남미 노선을 운항한다고 지난 15일 밝혔다.

 

바이오 선박유는 재생 가능한 원료를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기존 화석연료 기반 선박유 대비 탄소 배출량을 65% 이상 절감할 수 있다. 특히 폐식용유 기반 바이오 디젤을 사용한 바이오 선박유 80% 이상 탄소 배출 절감 효과가 있는 것으로 국제적인 인정을 받고 있다.

 

또 메탄올이나 암모니아보다 저렴하고 신규 인프라스트럭처 투자나 새로운 선박 건조 없이 사용 가능하기 때문에 해운 분야에서 탄소 감축에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평가된다.

 

국제해사기구(IMO)는 지난 7월 런던에서 개최한 '제80차 해양환경보호위원회'에서 바이오선박유의 탄소 감축 효과를 공식적으로 인정하기도 했다.

 

이번 시범 운항에 공급되는 바이오선박유인 GS칼텍스의 'B30 Bio Marine Fuel'은 GS칼텍스 선박용 중유와 국내 바이오연료 기업 DS단석이 폐식용유로 생산한 선박용 바이오디젤이다.

 

GS칼텍스는 지난 8월 국내 정유사 최초로 바이오 연료에 대한 국제 친환경 제품 인증제도인 'ISCC EU'를 취득했다.

 

시범 운항 연료에 혼합되는 선박용 바이오 디젤을 생산하여 공급하는 DS단석도 해당 인증을 보유하고 있어 바이오 선박유 공급망 전반에 친환경 인증을 갖춘 것으로 평가된다.

 

GS칼텍스는 정부가 지난해 10월 발족한 친환경 바이오 연료 활성화 동맹에 참여해 친환경 바이오 연료 보급 확대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이달 초에는 인천공항에서 미국 로스앤젤레스행 대한항공 화물기에 바이오 항공유(SAF) 시범 운항을 시작했고 선박유 부문에서도 GS칼텍스는 HMM과 지난 4월 바이오 선박유 공급과 사용에 적극 협력하기로 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HMM은 선박 온실가스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2021년 태평양 구간에서 '바이오중유'에 대한 선박 실증을 진행했다. 지난 2월에는 메탄올을 주연료로 하는 친환경 컨테이너선 9척을 발주했다. 4월에는 '선박용 탄소 포집 시스템 연구개발을 위한 업무 협약'과 '암모니아·메탄올 수송 및 벙커링 업무 협약'을 맺는 등 친환경 경쟁력을 강화하는 중이다.

 

이승훈 GS칼텍스 부사장은 "국내 정유사 최초로 바이오 선박유를 생산해 첫 시범 운항을 시작했고 앞으로 해운 분야에서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국내 선사들은 물론 한국 영해에서 급유받는 글로벌 선사들에도 바이오 선박유 공급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HMM 측은 "국내 첫 바이오선박유 시범 운항을 통해 온실가스 감축에 지속적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친환경 경쟁력 강화를 통해 글로벌 탑티어 선사로 도약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