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반도체 주요 원재료 5개 품목(실리콘웨이퍼, 불화수소, 네온, 크립토, 제논)의 중국 의존도가 대폭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산업통산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정일영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19일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받은 '지난 5년간 반도체 주요 원자재 수입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연도별 반도체 주요 원자료 5개 품목의 총 수입액은 ▲2019년 24억4143만달러 ▲2020년 21억2376만달러 ▲2021년 25억4257만달러 ▲2022년 33억9867만달러 ▲2023년 7월 기준으로 16억3212만달러로 나타났다.
연도별 반도체 주요 원재료 총 5개 품목 '중국' 수입액은 ▲2019년 6억3669만달러 ▲2020년 4억9106만달러 ▲2021년 6억5130만달러 ▲2022년 13억6666만달러이었다. 2023년 7월 기준으로 6억51354만달러를 기록해 2021년 전체 중국 총수입액을 넘어섰다.
실리콘 페이퍼의 경우 연도별 중국 수입액 및 총 수입액 대비 중국이 차지하는 비중을 살펴보면 ▲2019년 5억7305만달러(25%) ▲2020년 4억2445만달러(21%) ▲2021년 5억6340만달러(24%) ▲2022년 7억77719만달러(31%) ▲2023년 7월 기준 5억2431만달러(36%)로 나타나 올해엔 2022년 수입액을 넘어설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인다.
불화수소의 경우 ▲2019년 5746만달러(51%) ▲2020년 5455만달러(75%) ▲2021년 6561만달러(70%) ▲2022년 8655만달러(80%) ▲2023년 7월 기준 3489만달러(65%)로 나타났으며 네온의 경우 ▲2019년 134만불(27%)에서 ▲2023년 7월 기준 1216만달러(85%)로 나타나 5년 만에 1082만달러(58%) 가량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크립톤의 경우에는 ▲2019년 40만달러(15%), 제논의 경우에는 ▲445만달러(12%)로 나타났으며 2023년 7월을 기준으로 ▲크립톤 420만달러(52%), ▲제논 7579만달러(67%)로 중국 수입액을 비롯한 총 수입액 대비 중국 차지 비중도 대폭 상승했다.
정일영 의원은 "반도체 취약품목의 중국 수입 비중이 높아 중국 내 공급망이 악화될 경우 국내 산업 및 공급망 안정성이 크게 훼손될 우려가 있다"며 "향후 중국의 봉쇄조치 등으로 반도체 관련 국내 산업의 피해가 없도록 하는 수출입 다각화 등 특단의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