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현대차그룹, 美 조지아공대와 산학협력 MOU 체결…미래 모빌리티 이끌 인재 확보 나서

소니 퍼듀 조지아주 공립대학 협의회 의장(뒷줄 왼쪽)과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뒷줄 오른쪽)이 박수를 치고 있는 가운데 차우키 압달라 조지아공과대학교 연구담당 수석 부총장(앞줄 왼쪽부터), 앙헬 카브레라 조지아공과대학교 총장, 장재훈 현대자동차 사장, 호세 무뇨스 현대자동차 사장(COO)이 양해각서를 체결하고 있다.

현대자동차그룹이 미래 모빌리티 혁신 기술 확보를 위해 글로벌 인재 발굴·육성에 나선다.

 

현대차그룹은 19일(현지시간) 미국 조지아공대와 미래 모빌리티 협업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업무협약은 세계적 수준의 연구 역량을 보유한 조지아공대와 배터리, 수소에너지, 소프트웨어 등 미래 모빌리티 관련 산학 협력을 통해 미래 핵심 기술과 우수 인재를 확보하기 위함이다.

 

체결식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 장재훈 현대차 사장, 앙헬 카브레라 조지아공대 총장 등이 참석했다. 글로벌 유수 대학과 산학협력의 중요성을 강조해 온 정 회장은 조지아주 전기차 신공장 건설 현장 방문 당시 조지아공대와 협력 방안 모색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조지아공대는 세계 최고 권위의 대학 평가 기관인 THE와 QS가 올해 발표한 글로벌 공과대학 순위에서 각각 11위와 12위에 이름을 올린 연구중심 공립대학이다. 기계공학, 전자공학, 산업공학 등 분야에서 세계 최상위권으로 평가받고 있다.

 

정몽구 명예회장 때부터 이어진 조지아주와의 각별한 협력관계를 맺어온 바 있다. 2006년 당시 정몽구 명예회장과 정의선 기아 사장은 기아의 미국 첫 생산기지 위치를 조지아주 웨스트포인트로 선정했다. 조지아주의 우수한 입지조건, 소니 퍼듀 주지사를 비롯한 조지아주의 적극적인 협력의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소니 퍼듀 당시 조지아 주지사는 현재 조지아주 공립대학 협의회 의장으로 향후 현대차그룹과 조지아주의 산학 협력에 가교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현대차그룹 신설 전기차 생산 거점이 조지아주에 집중돼 있어 활발한 기술 및 인적 교류를 통해 성과가 기대된다. 조지아주를 비롯한 미국 남동부는 현대차그룹 북미 전동화 시장 공략의 거점으로, 전기차 전용 신공장 'HMGMA', 배터리셀 합작공장, 배터리시스템 공장이 건설되고 있다.

 

기아 오토랜드 조지아에서도 2024년부터 전기차를 생산할 계획이다. 현대차 앨라배마 공장은 올해 GV70 전동화 모델을 시작으로 전기차 생산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현대차그룹과 조지아공대는 배터리, 수소에너지, 소프트웨어, ADAS 등 미래 모빌리티 관련 연구 개발 과제를 선정하고 조지아공대 교수진, 현대차그룹의 미국기술연구소, 남양연구소가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된다.

 

조지아공대가 육성하는 학생 스타트업 중 유망한 곳을 선정해 지원·협력하는 방안도 모색한다. 선정된 스타트업은 향후 현대차그룹 계열사와 협업할 기회를 얻게 된다. 양측은 북미 지역에서 근무하는 현대차그룹 직원을 대상으로 생산 기술 역량 강화 프로그램과 리더십 교육 프로그램도 개발해 운영할 계획이다.

 

현대차그룹은 파트너십의 일환으로 조지아공대 스포츠단을 후원하기로 했다. 조지아공대는 미식축구, 야구, 농구 스포츠단을 운영하고 있다. 조지아공대 풋볼 경기장의 명칭도 '바비 도드 스타디움 앳 그랜트 필드'에서 '현대'가 포함된 '바비 도드 스타디움 앳 현대 필드'로 변경됐다.

 

장재훈 사장은 "현대차그룹은 모든 인류가 이동의 자유를 즐기며 안전하고 건강한 삶을 누릴 수 있는 미래를 만드는 데 막중한 사명감을 느끼고 있다"며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수소 경제, 인력 개발, 스마트 시티 등 다양한 분야의 미래를 조지아공대와 함께 그려나갈 수 있게 돼 기쁘다"고 말했다.

 

호세 무뇨스 현대차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 사장은 "조지아공대 캠퍼스를 돌아다니는 무공해 수소차, 애틀랜타 국제공항까지 운행하는 미래 항공 모빌리티, 고속도로를 달리는 자율주행차 등을 상상해 보라"며 "현대차그룹과 조지아공대는 이들 모두를 실현시킬 역량을 보유하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현대차그룹은 국내에서도 주요 대학들과 산학협력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현대차그룹은 지난 7월 미래 전기차 기술 리더십 확보를 위해 서울대학교 내에 배터리 공동연구센터를 개관하고, 국내 최고의 배터리 전문가 그룹과 함께 차세대 배터리를 연구하고 있다. 리튬메탈 배터리, 전고체 배터리 등 전기차 주행거리와 충전시간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선행기술 연구를 위해 서울대, 카이스트(KAIST·한국 과학기술원), 유니스트(UNIST·울산 과학기술원), 디지스트(DGIST·대구 경북 과학기술원), 성균관대, 한양대, 충남대 등 국내 대학 유수 교수진 및 석·박사급 우수 인재와 공동연구과제를 수행하고 있다. 또 우수 인재를 선발해 전문가로 육성하기 위해 계약학과도 활발하게 설치하고 있다.

 

이와 함께 현대차그룹은 2004년 서울대학교 '차세대 자동차 연구관', 2013년 고려대 '현대차 경영관', 2015년 한양대 '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 건립을 지원하며 우수 인재를 꾸준히 육성하고 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