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전기/전자

"TV 2대, 냉장고도 2대…" 요즘 사람들의 이유 있는 구입

같은 기능 전자기기 추가 구입 소비자 늘어
과거 청음형 전자기기 위주에서 최근 시각형·취식용 추가
국민 총소득 증가, 기술 발전 원인

방문객들이 LG전자의 포터블 스크린 'LG 스탠바이미 Go'로 영상을 보고 있다. 이동 편의성에 집중한 LG 스탠바이미 시리즈는 소비자들에게 '2번째 텔레비전'으로 폭발적인 인기를 끌고 있다. /LG전자가 오는 24일까지 서울 롯데월드몰에서 신개념 포터블 스크린 'LG 스탠바이미 Go'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방문객들은 통나무 산장 콘셉트의 캠핑 공간에서 LG 스탠바이미 Go의 다채로운 매력을 체험할 수 있다. (사진=LG전자 제공) 2023.09.17. photo@newsis.com *재판매 및 DB 금지

 

 

캠핑을 즐긴지 5년 여 된 캠핑족(族) 김영아(35)씨는 최근 빔 프로젝터를 눈여겨 보고 있다. 캠핑 때 사용하기 위해 구입하는 만큼 주요하게 살펴보는 기능은 '휴대성'이다.

 

김씨는 "집에도 빔 프로젝트가 있긴 하지만 가지고 다니면서 보기엔 좀 커서 구입하기로 했다"며 "야외에서도 어두워지면 텐트를 스크린 삼아 빔 프로젝트를 사용할 수 있는데, 캠핑족들은 분위기를 돋울 감성적인 영상을 틀어두기도 하고, 휴대용 블루투스 스피커를 이용해 영화를 감상하기도 한다"고 말했다.

 

소비자가 특정 목적을 위해 기본 가전의 대안으로 추가 구입하는 가전은 과거에도 있었다. 대표적인 예가 오디오와 스피커의 다른 목적 대안으로 카세트테이프가 나왔다. 전과 다른 것은 기능과 품목에 한계가 없다는 점이다. 최근 모바일폰 등을 제외하고 가장 빠르게 새로운 기능과 서비스가 등장하는 가전으로는 냉장고와 텔레비전을 꼽을 수 있다.

 

'1가구 1가전'의 시대가 저물고 '1활동 1가전'의 시대가 열렸다. 한 개의 가전으로 다양한 활동을 겸하는 대신 특정 목적에 따라 추가 가전을 구입하는 추세가 확산하고 있다.

 

가전은 과거 한 가정에 텔레비전 1개, 냉장고 1개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 필수적인 주요 가전은 한 대만 구비 하는 게 일반적이었다. 최근에는 국내 소비자들의 소득 규모가 세계 선진 수준에 이르고, 전자업계는 기술 발전으로 중저가 가전 출시가 가능해져 부유층이 아니라도 같은 기능의 가전을 여러 대 구입하는 소비자가 늘었다.

 

특히 과거에는 주로 음악을 듣는 등 청각적 만족을 위해 가전을 추가했지만 요즘은 시각과 미각까지 추가한 가전으로 추구할 수 있게 됐다.

 

18일 <메트로경제> 의 취재에 따르면 최근 소비자들이 같은 기능이라도 각 목적에 맞춰 가전을 여러 대 구입하면서 가전업계도 전에 없던 아이디어 상품을 활발히 출시하고 있다.

 

냉장고는 업계에서 이미 목적에 따라 특화한 제품이 시장에 쏟아진지 오래다. 1976년 프랑스에서 처음 유로까브(EuroCave)가 와인 냉장고(와인셀러)를 내놓으며 특화형 냉장고는 현재에; 이르러 이동용 냉동고에까지 이르렀다.

 

특히 유래없이 국내에서는 특화형 냉장고 중 김치냉장고가 폭발적인 인기다. 위니아가 1995년 출시한 딤채가 폭발적인 인기를 끈 후 한국갤럽의 조사에 따르면 2021년 보급률이 90%에 이르렀다. 특히 부모와 자녀로 구성된 3인 이상 가구들은 모두 95% 이상에 이른다.

 

영상가전인 텔레비전은 2018년 경부터 다양한 대안이 제시됐다. 텔레비전의 고정된 한정적인 크기에서 벗어나 더욱 큰 화면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미니 빔 프로젝트를 주목했다. 최근에는 아예 이동용 스크린으로 불리는 스크린이 인기다.

 

LG전자가 지난 5월 출시한 포터블 스크린 'LG 스탠바이미 고(GO)'는 이달 독일 베를린 유럽 최대 가전 전시회 IFA2023에서 "최고의 제품(best in show)"라는 찬사를 받았다. 영국 트러스티드리뷰(Trusted Reviews)는 스탠바이미 고를 "IFA 2023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제품이자 언제 어디서든 넷플릭스를 즐기고 싶어 하는 사람들에게 매우 흥미로운 캠핑·여행 장비"로 평가했다.

 

스탠바이미 고는 출시 한 달만에 1만 대 이상을 판매하며 호평을 얻은 이동식 영상가전 '스탠바이미'의 후속작이다. 스탠바이미는 27형 텔레비전으로 일반 텔레비전보다 작지만 무빙스탠드로 집안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다. 스탠바이미 고는 이동 편의성을 더욱 극대화해 야외를 무대로 삼았다.

 

삼성전자는 지난 15일 세계적인 미술관 메트로폴리탄 미술관(Metropolitan Museum of Art)이 보유한 세계적인 명작 38점을 엄선해 삼성 아트 스토어에 추가했다. 삼성 아트 스토어는 아트 콘텐츠 구독서비스로 2017년 첫 출시한 라이프 스타일TV '더 프레임(The Frame)'에 전 세계 유명 미술관·갤러리의 2300여 점의 작품을 4K 화질로 제공한다.

 

삼성전자 측은 "더 프레임이 단순히 명화를 TV로 보여주는 것을 넘어서 명암과 색감을 자동으로 조정하는 '조도 센서 기술'을 통해 선명한 색채와 강렬한 붓 터치까지 정교하게 재현해준다"고 설명했다.

 

업계 관계자는 "가장 먼저 사람들이 집에 있음에도 다른 활동을 목적으로 추가적으로 구입한 전자기기들은 대체로 청각과 소리와 관련된 기기들이었다"며 "최근에는 기술발전으로 전자기기의 내구성을 높이고, 생산원가를 낮출 수 있게 돼 대형 가전들이 담당한 시각과 미각과 관련한 기기들이 각광받고 있다"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