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치안 문제 해결 없이 부르짖는 '3·3·7·7 관광시대'는 헛된 구호

지난 여름 일본 홋카이도 시코쓰도야 국립공원에 위치한 조잔케이 온천마을로 빛축제를 보러 갔다. 온천 일대 자연 지형에 프로젝션 매핑(건물 등에 영상을 비춰 연출하는 예술 기법)으로 구현한 라이팅 퍼포먼스를 감상했다. 바위엔 자연의 신비를 느끼게 하는 생명수가 흘렀고, 산책로를 수놓은 형형색색의 물고기와 꽃들이 눈앞을 어지럽혔다. 반딧불이를 형상화한 불빛이 열매처럼 주렁주렁 달린 나무엔 숲의 정령이 깃든 듯했다.

 

'서울에서도 이런 루미나리에(조명과 장식물을 활용한 빛의 축제) 페스티벌이 열린다면 관광객이 늘어 침체된 상권에 활기가 돌지 않을까'라는 생각을 했는데 헛된 망상이었다. 묻지마 칼부림 때문이다. 최근 서울시는 야간관광 활성화 방안 기자설명회를 하려다 취소했다. 불특정 다수를 상대로 흉기 난동 사건이 벌어지는 시기에 섣불리 야간관광 부흥책을 내놓았다간 여론의 뭇매를 맞았을 터.

 

서울빛초롱 축제의 경제적 파급 효과를 분석한 논문에 따르면, 축제 방문객의 지출액으로 인한 서울시의 순수 직·간접 생산파급효과는 263억9000만원, 소득파급효과는 51억3100만원, 부가가치파급효과는103억4700만원에 이른다. '서울라이트 광화', '광화문광장마켓' 등 서울의 대표적인 야간 축제를 더하면 경제적 효과는 이를 훨씬 웃돈다. 치안 문제로 시는 수백~수천억원에 달하는 야간 관광 수익을 허공에 날릴 위기에 처했다. 여행지로서 서울의 가장 큰 매력으로 꼽혔던 '안전'이 사라졌기 때문.

 

지난 6일 지하철 2호선 을지로4가역으로 향하던 열차 안에서 흉기 난동 오인 대피 소동이 일어났다. 검은색 후드를 뒤집어쓴 남성이 전동차에서 승객들을 밀치고 중앙 통로로 달려가는 모습을 본 시민들이 묻지마 칼부림이 벌어진 줄 알고 도망치다가 뒤엉켜 넘어지면서 18명이 다쳤다. 서울시민들은 이태원 핼러윈 참사 이후엔 압사 트라우마가, 칼부림 사건을 겪은 뒤에는 묻지마 범죄 트라우마가 생겼다.

 

야간관광 활성화 대책 발표 취소 후 오세훈 서울시장은 12일 세빛섬에서 개최된 '서울관광 미래비전 선포식'에 참석해 야간관광 수요 창출 등을 통해 '3·3·7·7 관광시대'를 열어가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묻지마 칼부림이 계속해서 발생하는 현 상황에서 치안 문제를 최우선적으로 해결하지 못한다면 '3000만 관광객, 1인당 지출액 300만원, 체류기간 7일, 재방문율 70% 달성'이라는 목표는 공허한 구호에 불과하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