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이건희 삼성 선대회장 '동물사랑' 행보 재조명
'삼성화재 안내견학교 30년' 뒤에는 한 사람의 동물 사랑이 있었다.
"세계견종협회에서 진돗개의 원산지가 한국임을 증명해 주지 않았다. 확실한 순종(純種)이 없다는 이유로 우수성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았다." <이건희 에세이 '생각 좀 하며 세상을 보자' 중 발췌>
◆ 직접 발로 뛰며 얻은 '순종 진돗개'…애견문화 확산 기여로 이어져
이 선대회장이 순종 진돗개 보존 사업에 발을 들인 이유는 진돗개가 한국에서 일찌감치 천연기념물 53호로 지정됐지만 원산지가 한국이란 것을 인정받지 못했기 때문이다.
1996년 어느 날, 이건희 선대회장은 이런 사실을 알고 그 길로 진도로 내려가 사흘을 머물렀다. 진도 장터와 동네를 구석구석을 돌아다니며 진돗개 30마리를 사들인 이 선대회장은 이후 10년 동안 순종 진돗개를 얻기 위해 애썼다.
그 결과 진돗개 순종을 얻기 위해 진도에서 들여온 30마리는 150마리로 불어났다. 진돗개를 사들인 지 10년 만에 마침내 순종 한 쌍을 얻게 됐고 진돗개 300마리를 키우며 순종률을 80%까지 올려놓는 수준까지 올라갔다. 사육사들이 종일 연구하고, 외국 전문가를 수소문해서 연구한 결과다.
이 선대회장의 노력은 곧 결실을 맺었다. 1982년 세계견종협회는 진돗개 원산지를 한국으로 등록했다. 2005년에는 세계 최고 권위의 애견협회인 영국 견종협회 켄넬클럽(Kennel Club)에 진돗개를 정식 품종으로 등록하는 데 성공했다. 영국 왕실의 지원을 받는 등 콧대 높기로 유며한 켄넬클럽은 심사를 거쳐 진돗개를 '품종 및 혈통 보호가 잘돼 있는 견종'으로 평가했다.
이 선대회장은 애견문화 확산에도 기여했다. 1975년에는 진돗개 애호협회를 설립, 초대 회장에 취임하며 진돗개 경연대회를 열고 당시로서는 파격적으로 대형 냉장고를 1위 경품으로 내걸기도 했다. 1993년부터는 세계적 애견대회인 크러프츠도그쇼를 후원했다. 2013년 이 대회에서 진돗개 체스니가 처음 출전해 입상하기도 했다.
그의 진돗개 사랑이 애견 행보로 넓어진 것은 1988년 서울올림픽 개최를 기점으로 한다.
올림픽을 전후해 한국을 놓고 '개를 잡아먹는 야만국'이라는 부정적 인식이 국제 사회에 퍼졌다. 세계동물보호협회(WSPA)와 국제동물복지기금(IFAW)은 대규모 항의시위를 계획하기도 했는다. 이를 두고 이 선대회장은 국가 이미지가 실추되는 것을 물론이고, 해당 사건을 계기로 한국 상품 불매운동으로 연결되면 장기적으로 한국 경제에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여겼다.
이 선대회장은 동물보호협회 회원들을 서울로 초청해 집에서 개를 기르는 모습을 직접 보여주고, 애완견 연구센터 등에 데리고 가 한국 '애견 문화'의 수준을 보여주며 우려를 불식시켰다. 그 덕분에 영국 동물보호협회의 시위는 취소됐고, 그 이후 항의조차 없었다.
◆ 사회공헌에 이바지 한 '신경영'
1993년 '신경영 선언'과 함께 삼성은 '애완견 사업'을 본격화했다. 이 선대회장은 1992년 용인에 애완견 견사를 구축하고 1년 뒤 국내 최초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삼성 안내견학교를 설립해 개인적 취미를 공공의 영역으로까지 넓히는 행보를 보여줬다.
이 선대회장이 시작한 시각장애인 안내견학교는 삼성의 대표적인 사회공헌 사업으로 자리 잡으며 올해 30주년을 맞았다. 삼성화재의 안내견학교는 안내견 문화와 장애 복지 향상에 기여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이 밖에도 ▲1993년 영국 크러프츠 도그쇼 후원 ▲1995년 에버랜드 내 전담조직 설립 ▲2003년 세계 애견 대회에 진돗개 출품 ▲2002년 세계안내견총회 ▲2005년 국제인명구조견협회 심포지엄 한국 개최 등을 진행했다.
이 선대회장은 '동물을 통한 사회공헌' 노력을 인정받아 2002년 세계안내견협회로부터 공로상을 받기도 했으며, 영국 왕실은 이 선대회장의 '동물 사랑'과 애견 문화 확산에 대한 공로를 인정해 개를 선물하기도 했다.
이 선대회장은 생전 에세이에서 "나는 아무리 취미생활이라도 즐기는 데 그치지 않고 그것을 깊이 연구해서 자기의 특기로 만드는 것이 좋다고 생각한다"며 "거기에 취미를 통해서 남을 도와줄 수 있다면 더욱 좋은 일일 것이다"라고 적은 바 있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