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증권가 리포트에 주가 희비교차...'침묵'과 '발언'의 자유

/유토이미지

주가 상승세를 기록하던 롯데손해보험의 주가가 증권가의 '매각가 고평가' 의견에 급락세로 들어섰다. 최근 애널리스트들의 '매도' 리포트 회피와 선행매매 논란에도 영향력이 건재한 것으로 보여진다. 일각에서는 자본시장의 구조 자체가 '매도' 리포트를 낼 수 없는 환경이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롯데손해보험의 주가는 이번 주에만 약 52.0% 폭등했다. 롯데손해보험은 본격적인 매각 절차에 들어간 것으로 전해지면서 18일과 19일, 이틀 연속 상한가를 기록했다. 20일 오전에도 3245원까지 오르며 52주 신고가를 터치했지만, 증권가에서 매각가가 과도하다는 의견이 나오면서 하락 전환됐다. 결국 롯데손해보험은 8.86% 급락한 2830원에 거래를 마쳤다.

 

이날 설용진 SK증권 연구원은 "언론을 통해 거론되는 예상 매각가 2조7000억에서 3조원은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하더라도 다소 높은 수준"이라며 "현재 주가가 매각 기대감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향후 모멘텀이 소멸되는 구간에서 급격한 주가 변동성이 나타날 우려가 있다"고 경고했다. SK증권이 올해 1분기 기준으로 상장 주요 손보사 밸류에이션(가치평가) 평균과 경영권 프리미엄 약 50~85% 가정을 적용한 롯데손해보험의 대략적인 매각가는 약 1조2000억원에서 2조원 수준이다.

 

최근 애널리스트들은 '매수' 리포트에 비해 '매도' 리포트를 회피하고 있다는 의견과 차명 계좌를 활용해 선행매매로 부당이득을 챙긴 의혹이 불거지면서 불신을 사고 있다. 이로 인해 과거보다 주목도가 낮다는 평가가 나오지만 여전히 애널리스트들의 종목 리포트는 투자자들의 투심에 영향력을 미치는 모양새다.

 

A 증권사 애널리스트는 "기업 내부적으로 이해관계가 얽혀 있고, 개인 투자자가 늘어나면서 과열 종목의 매도(셀) 리포트 등을 불편해하는 경우도 많다"며 "증권사의 독립성을 고려한다면, 리포트에 대한 애널리스트의 자유도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올해 1분기 말 기준 국내 증권사 35곳의 '매도' 리포트 비중은 전체 리포트의 0.1%에 불과하다. 또한, 에프앤가이드를 살펴보면 올해 나온 레인보우로보틱스 분석 리포트는 2월 작성된 유진투자증권이 유일하고, 광풍을 일으키며 상반기 증시를 주도했던 에코프로 분석 리포트도 비논리적인 오름세와 함께 뚝 끊겼다. 지난 5월 이후 7월에 하나증권에서 나온 '매도' 리포트가 전부이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집중된 종목임에도 주가 변동성이 높아 증권사들이 분석 리포트를 내는 것에 부담을 느끼는 것으로 풀이된다.

 

상대적으로 부담감이 덜한 독립리서치 애널리스트들도 매도 리포트에 손을 대는 것은 어렵다. B 독립리서치 애널리스트는 "내부 이해관계를 배제하고도 매도 리포트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의 시선이 곱지 않다"며 "주가 흐름 예측이 어긋났을 때의 손해도 매도 리포트가 더 크고, 들어맞더라도 매도 리포트 때문에 주가가 낮아졌다는 볼멘소리를 듣는 경우가 있다"고 설명했다. 사실상 주주들의 입장에서는 매도 리포트가 부정적인 시그널로 다가오기 때문에 '공매도 악적' 등의 비난을 받게 된다는 부연이다.

 

한 업계 관계자도 "셀 리포트는 기업, 투자자, 회사 등을 모두 적으로 돌리는 것"이라며 "매도 리포트를 쓸 수 있는 환경적 조건도 안 될 뿐더러 쓰더라도 긍정적으로 돌아오는 부분이 전혀 없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