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제약/의료/건강

[社告] 2023 제약&바이오포럼

[社告] 2023 제약&바이오포럼

 

메트로경제는 오는 10월 25일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한국거래소(KRX) 1층 컨퍼런스홀에서 '바이오의 새물결, 플랫폼과 오가노이드'란 주제로 '2023 제약&바이오포럼'을 개최한다.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이 신약의 꿈을 쫓아 연구개발(R&D)에 매진해 온 시간은 어느 덧 20년을 훌쩍 넘었고 크고 작은 성과들이 가시화되고 있다. 그동안 축적해 온 기술을 바탕으로 마땅한 치료제가 없는 희귀질환의 영역에 당당히 도전장을 내민 기업들도 다수 등장했다. '글로벌 블록버스터(연 매출 1조원 이상의 신약)' 개발이 가능할 것이란 기대도 높아지고 있다.

 

정부 역시 올해 '제3차 제약바이오산업 육성·지원 종합계획'을 통해 향후 5년간 연매출 1조원 이상 블록버스터급 신약 2개를 만들고, 연매출 3조원 이상 글로벌 50대 제약사 3곳을 육성하겠다는 의지를 밝힌 바 있다. 글로벌 신약 개발 10개를 목표로 5년간 민관이 합쳐 25조원 투자도 추진 중이다.

 

다만, 시장은 여전히 어렵다. 신약 개발은 너무 많은 시간과 비용이 드는 데다, 여전히 높은 규제 등으로 성공 확률이 낮은 탓이다. 기업들이 적자를 감수하며 십수년간 연구개발에 매진해도 성공을 장담하기 힘들다는 불안감은 제약·바이오 업계로의 투자를 더욱 위축시키고 있는 상황이다.

 

이런 가운데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은 80여년 만에 동물실험 의무화 조항을 삭제하고, 비동물 실험을 거친 약물을 증진하겠다고 밝혔다. 유럽연합(EU) 역시 동물 실험의 점진적 폐지를 선언하며 글로벌 임상의 장벽도 높아지고 있다.

 

국내 기업들은 새로운 생존 기회를 모색하고 있다. 인공지능(AI) 기술을 활용해 신약 개발 비용과 시간 실패의 위험을 줄이고, 동물 실험 대신 오가노이드(장기유사체) 등을 활용할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어내고 있다.

 

특히 국내 기업만이 가진 독자 기술을 활용해 개발 중인 치료제의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도 지속되고 있다.

 

메트로경제는 이번 포럼을 통해 제약·바이오 시장의 새로운 흐름을 짚어보고, 글로벌 블록버스터 개발을 위한 다양한 방향을 모색해 볼 예정이다.

 

■행 사 명 : 2023제약&바이오포럼

 

■일 시 : 2023년 10월 25일 오후2~5시

 

■장 소 : 서울 영등포구 여의도동 한국거래소(KRX) 1층 컨퍼런스홀

 

■주 제 : 바이오의 새물결, 플랫폼과 오가노이드

 

■강 연: 유종만 오가노이드사이언스 대표이사(기조강연)

 

김주희 인벤티지랩 대표이사

 

손미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줄기세포연구센터장

 

오일웅 식품의약품안전처 독성연구과장

 

■주 최 : 메트로경제, 메트로신문

 

■문 의 : 2023 제약·바이오포럼 사무국 02)721-9826, forum@metroseoul.co.kr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