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휴 시작과 함께 고양특례시에서는 축제의 막이 오른다. 가을꽃부터 막걸리, 거리 예술까지 다채로운 축제들이 고양의 가을을 가득 채운다. 또한 걷기만 해도 힐링이 되는 역사 문화 유적지에서는 깊어가는 계절의 정취를 물씬 느낄 수 있다. 볼거리, 즐길거리가 풍성해 가을에 더 매력적인 고양의 명소들을 소개한다.
◆가을꽃 지천으로 핀다… '고양가을꽃축제', '창릉천 코스모스 축제'
'2023 고양가을꽃축제'가 오는 27일부터 10월 9일까지 13일간 일산호수공원 고양꽃전시관과 주제광장 일원에서 열린다. 이번 축제의 메인 주제는 '비밀의 화원'으로 실내 공간인 꽃전시관에 1,000㎡의 몰입형 스토리텔링 공간을 조성한다. 또한 고양시에서 생산되는 장미 등 품종별 화훼 작품을 중심으로 화려하고 신비로운 전시가 예정돼 있다.
야외 구역에서는 ▲시민 참여 정원 ▲고양 플라워 마켓 ▲선인장 페스티벌 ▲어린이 놀이시설 ▲수상꽃자전거 체험 등을 운영한다. 곳곳에서 공연과 체험 이벤트도 함께 펼쳐진다.
한편 덕양구 강매석교공원에서는 분홍 물결의 코스모스를 즐길 수 있다. 오는 10월 21일부터 22일까지 '2023 창릉천 코스모스 축제'가 개최된다. 창릉천 하류의 강매석교공원은 봄에는 유채꽃이, 가을에는 코스모스가 만발한다.
올해 코스모스 축제에서도 추억의 사진을 남기는 것은 물론 다양한 행사를 함께할 수 있다. 프로그램은 ▲스탬프·자전거 투어 ▲꽃차 시음회와 꽃 관련 체험 ▲노래자랑·제기차기·딱지치기 대회 ▲버스킹과 풍선아트 등이 준비돼 있고, 상시로 플라워 마켓, 나눔·먹거리 장터 등을 운영해 축제의 흥을 돋울 계획이다.
◆색깔 있는 축제의 장 열려… '거리 예술'과 '막걸리'
풍성한 거리공연을 즐기고 싶다면 '2023 고양호수예술축제'를 추천한다. 10월 6일부터 9일까지 4일간 일산호수공원과 일산문화광장 일원에서 열리고, '걷다보니 예술, 거리마다 무대!'를 슬로건으로 총 62개 팀이 참가, 106회의 거리 공연을 선보일 예정이다.
축제의 백미는 불꽃 드론쇼와 불꽃놀이 공연으로, 10월 7일부터 9일까지 일산호수공원의 밤하늘을 화려하게 수놓을 예정이다. 공중 퍼포먼스와 불꽃 드론 쇼가 결합된 개막작 '호수 판타지아'(7일), 불꽃극과 불꽃 드론이 결합된 폐막작 '파이오니어, 비상(飛上)'(9일)과 함께 서커스, 마임, 마술, 거리 무용, 인형극, 전통 예술 등 국내외 최고 수준의 거리 공연이 준비돼 있다.
한편 '2023 고양시 전국 막걸리 축제'가 10월 21일과 22일에 걸쳐 일산문화광장 일대에서 열린다. '가와지쌀의 도시 고양시, 맛과 멋을 빚다'를 부제로 올해는 시가 직접 축제를 주관, 주최한다.
이번 축제에는 약 80여 개 업체가 참여할 계획으로 막걸리 주원료인 쌀의 부가 가치를 높이고, 고양시 특화농산물 '가와지쌀'의 인지도를 향상시킬 계획이다. 또한 막걸리 빚기 체험 등 다양한 프로그램과 공연이 함께 펼쳐지고, 라페스타 등 주변 음식점과 협업해 지역 경제 활성화에도 기여할 방침이다.
◆가을이 물든 '행주산성', '서삼릉 효릉'… 문화유산 품은 힐링 명소
행주산성은 임진왜란 행주대첩의 전승지이자 호국 정신이 깃든 고양시의 대표 문화유산이다. 행주산성 대첩문을 시작으로 권율 장군 동상, 충훈정, 충장사, 대첩 기념관을 거쳐 정상 대첩비에 다다르면 탁 트인 풍광을 누릴 수 있다.
행주산성에서는 오는 10월까지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살구꽃 피는 행주'는 행주산성의 자연과 공존에 대해 배우는 생태 프로그램이고, '권율장군과 행주대첩'은 행주산성 곳곳을 탐방하는 역사 프로그램이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매주 토, 일요일 오전 10시와 2시에 진행되고, 해당 프로그램은 고양시청 통합예약사이트에서 예약할 수 있다.
또한 행주산성은 한국관광공사가 선정한 '야간관광 100선'에 꼽힐 만큼 야경 명소로도 이름나 있다. 오는 10월까지 매월 둘째, 넷째 주 토요일 무료로 개방하고, 관람 시간은 오후 6시~오후 10시까지이며 입장 마감은 오후 9시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