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산업일반

韓 대기업 美보다 크게 부진…"애플 영업익 10% 줄 때, 삼성은 95% 급감"

한경협, 韓·美 100대 기업 경영성과 분석
미 영업익 3.9%↓…한국은 63.4% 급감

지난 12일(현지시각) 미 캘리포니아주 쿠퍼티노에 있는 애플파크에서 애플의 신제품 발표 행사 '원더러스트'가 열려 아이폰15 프로가 소개되고 있다. 아이폰15 시리즈에는 기존 라이트닝 포트 대신 아이폰 처음으로 'USB-C' 충전단자가 도입됐다./뉴시스

올 상반기 우리나라 100대 기업의 경영 실적이 미국 100대 기업과 비교해 현저히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양 국가 시총 1위 기업인 애플과 삼성전자의 경우 애플이 10% 하락할 때 삼성전자는 95.4% 급락했다.

 

한국경제인협회(옛 전국경제인연합회·한경협)는 미국 뉴욕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시가총액 100대 비금융 기업과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시총 100대 비금융 기업의 올해 상반기 경영 실적을 비교한 결과를 공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 상반기 양국 100대 기업의 매출 총액은 미국이 약 2.4%, 한국이 0.3% 증가했다. 반면 영업이익 총액은 미국이 약 3.9% 감소했으며, 한국의 경우 63.4% 급락했다.

 

미국은 지난해 상반기 6643억 달러에서 올 상반기 6385억 달러로 3.9% 정도 감소했다. 이에 비해 한국은 678억 달러에서 248억 달러로 63.4%나 줄었다.

 

당기순이익도 미국 100대 기업은 3.2% 소폭 증가한 반면, 한국 100대 기업은 68% 급감했다.

 

미국 100대 기업의 당기순이익 총액은 지난해 상반기 약 4666억 달러에서 올 상반기 4818억 달러로 3.2% 증가했다. 한국은 497억 달러에서 159억 달러로 68.0% 감소했다.

 

한경협은 반도체를 포함한 IT 기업과 에너지 기업의 실적 악화가 우리나라 대기업 경영 실적에 악영향을 미쳤다고 분석했다.

 

한국 IT 기업의 매출이 20% 이상 감소하고 영업이익, 당기순이익은 100% 넘게 급락했다. 에너지 분야의 매출은 0.4% 증가했으나 영업이익 82%, 당기순이익 100.6% 줄었다./한국경제인협회

상세 내용을 보면 미국 IT 기업의 매출,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총액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모두 감소했으나 감소폭이 5% 이내로 크지 않았다.

 

같은 기간 한국 IT 기업의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총액은 각각 21.5%, 113%, 109.4% 급감했다.

 

특히 미국 100대 기업 중 경영실적이 가장 저조했던 에너지 분야의 매출과 영업이익, 당기순이익 총액 감소 폭은 모두 20% 내외였지만, 한국 에너지 대기업들은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이 각각 82%, 100.6% 줄며 더 큰 감소 폭을 보였다.

 

기업별로 보면 양국의 차이는 더 극명하다.

 

각 국가 시총 1위 기업인 애플과 삼성전자만을 비교해보면 애플은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해 매출 -4.2%, 영업이익 -10.0%, 당기순이익 -9.2%를 기록했다. 삼성은 매출 -21.5%, 영업이익 -95.4%, 당기순이익 -86.9%로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다.

 

커뮤니케이션 업종인 메타(META)와 카카오를 비교해도 지난해 상반기 대비 올해 메타는 매출 6.9%, 영업이익 9.8%, 당기순이익 -4.6%로 비교적 안정적인 편이었다. 반면 카카오는 매출 7.1%, 영업이익 -44.9%, 당기순이익 -90.3%로 급락했다.

 

게임업체 블리자드와 크래프톤의 경우도 미국의 블리자드는 전년 대비 매출 34.5%, 영업이익 64.7%, 당기순이익 96.7%로 증가한 반면, 한국의 크래프톤은 매출 -3.8%, 영업이익 15.2%, 당기순이익 -11.2%로 실적이 악화됐다.

 

각 국가 제약사 중 시총이 가장 높은 엘리릴리앤드컴퍼니와 바이오팜를 비교해보면 엘리릴리앤드컴퍼니는 매출 6.8%, 영업이익 -8.0%, 당기순이익 8.8%로 비교적 안정적인 실적을 기록했지만, SK바이오팜은 매출 43.3% 증가, 영업이익 -47.0%, 당기순이익 -68.6%로 줄었다.

 

한경협은 "미국에 비해 한국 대기업이 외부 충격에 취약한 모습을 보인다"며 "보다 안정적 수익 기반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