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농식품 수출, 올해 첫 증가세 반전...K-푸드 열기 주요국 확산

9월둘째주에 상승반전...전년동기比 라면 23% 성장
스마트팜, 농약 등 전후방산업 수출 급증 추세

농식품 수출을 선도하고 있는 K-라면 /뉴시스

농식품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며 9월에 처음 증가세(전년동기대비)로 돌아섰다. 중국을 비롯 미국, 유럽연합(EU), 동남아 등 주요시장에서 K-푸드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확산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농림축산식품부는 올들어 이달 둘째주(9월16일)까지 농식품 수출이 지난해보다 0.4% 증가한 63억1000만달러를 기록했다고 25일 밝혔다.

 

농식품류에 스마트팜, 농기자재 등 전후방산업 수출을 포함하는 케이푸드 플러스( K-Food+) 수출도 지난해보다 1.8% 증가한 84억6000만달러(전후방산업 21억5000만달러)로 상승세이다.

 

올해 총 농식품 수출액은 첫째주까지는 작년 동기보다 적었으나 라면·음료 등 가공식품과 김치·딸기·배 등 신선식품 수출 성장세에 힘입어 지난주를 고비로 증가세로 반전했다는 설명이다.

 

시장별로는 중국이 대부분 농식품 분야에서 호조세를 보이며 7월까지 7억9100만달러에서 지난 16일까지 9억7700만달러로 11.3% 증가했다. 미국·EU는 소비심리 회복과 함께 건강식품 중심으로 물량이 늘어나고 있으며, 한류와 K-푸드 영향력이 상대적으로 큰 아세안 시장도 회복세이다.

 

미국의 경우 지난 7월까지 7억2100만달러로 전년동기대비 4.5% 부족했으나 9월 2주차까지는 모두 9억1000만달러를 수출하며 3.8% 증가세로 돌아섰다. 유럽지역도 3억500만달러로 3.0% 감소에서 3억7600만달러로 1.2% 증가로 반전했다. 일본의 경우 7월까지 8억5400만달러를 수출해 전년동기대비 5.8% 위축됐으나 지난 16일까지 10억3500만달러를 기록하며 7.4% 증가하는 강세를 보였다.

 

품목별로는 라면이 지난 16일까지 6억5700만달러 어치 수출하며 23.5%의 성장세를 보였고 음료(4억2200만달러, 9.0%), 쌀가공식품(1억4500만달러, 16.2%), 김치(1억1300만달러, 9.9%), 딸기(5300만달러, 26.9%), 배(3300만달러, 18.1%) 등 가공식품과 신선농산물이 고른 성장세를 보이고있다.

 

라면의 경우 K-드라마 등 한류 컨텐츠에 힘입어 매운라면, 볶음면 등에 대한 인기가 높아지면서 세계 시장에서 K-푸드의 위상을 한층 높이고 있으며, 작년 역대 최고액 수출에 이어 올해도 수출 효자 품목 역할을 톡톡히 해내고 있다.

 

전후방산업의 경우 스마트팜, 농약 등을 중심으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스마트팜은 수주액을 포함, 2억3800만달러로 전년동기 대비 202.8% 성장했고 농약도 3억900만달러로 91.8% 규모를 늘렸다. 농식품부는 사우디아라비아(1억2000만달러)와 쿠웨이트 수주계약 등 중동 진출이 확대되고 있으며, 농약의 경우 국내 개발 제초제를 바탕으로 미국 등에 수출이 증가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농식품부는 오는 11월 해외바이어 초청 수출 상담회와 박람회 한국관을 운영해 수출업계와 바이어 간 만남의 기회를 충분히 제공하고 스마트팜 중점지원무역관 지정을 확대하며 스마트팜 수출 기업을 위한 상시지원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권재한 농업혁신정책실장은 "K-푸드에 대한 인기와 품질경쟁력을 바탕으로 시장·품목별 여건에 따라 수출전략을 세분화해 지원하는 등 가용 자원을 총동원해 수출 확대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2023년 1월~9월 2주(~9.16) K-Food+ 수출 실적 (9.16. 잠정치 기준)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