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IPO간담회] 신성에스티 "글로벌 배터리 솔루션 기업으로 도약"...10월 코스닥 상장

안병두 신성에스티 대표이사가 4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 후 성장 전략을 설명하고 있다. /신성에스티

"기업을 경영하는 리더의 최고 덕목은 기업을 지속가능하게 성장하도록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북미법인 진출과 제품에 대한 고도화, 글로벌 완성차와의 직거래 등 중장기 성장을 위한 포석을 잘 벌여 놓았기 때문에 당사의 성장성을 믿고 기대해 주시길 바란다"

 

안병두 신성에스티 대표이사가 4일 서울 여의도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코스닥 상장 후 성장 전략을 밝혔다.

 

신성에스티는 전기자동차(EV) 및 에너지 저장장치(ESS) 배터리의 핵심 부품을 제조하는 기업이다. 2004년 설립 당시 IT 및 차량용 부품 사업을 시작으로 현재는 2차전지 전장부품 제조 사업을 주력으로 삼고 있다. 주요 제품은 2차전지 배터리 내 전장부품들의 전류를 연결하는 전도체 부스바(Busbar)와 2차전지 배터리 셀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해 주는 모듈 케이스(Module case) 등이 있다.

 

현재 LG에너지솔루션과 SK온 등 글로벌 기업과 밀접한 파트너십을 유지해 오고 있으며, 특히 LG에너지솔루션과는 2013년에 협력사로 등록한 후 꾸준히 공동 연구·개발(R&D)을 수행하는 등 고객사 내 입지를 공고한 입지를 다져왔다.

 

한유건 KB증권 연구원은 "2차전지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신성에스티의 배터리 팩 당 부스바, 모듈 케이스의 소요량 증가로 인해 중장기 매출과 이익 동반 성장이 예상된다"며 "2차전지 고객사의 진출 거점을 기반으로 글로벌 고객사 확보 및 해외 진출 확대가 기대된다"고 평가했다. 리스크 요인으로는 신규 경쟁사 진입 및 전방산업의 수요 둔화를 꼽았다.

 

신성에스티의 매출액 추이, 영업이익률 등 경영 성과 지표. /신성에스티

신성에스티의 연간기준 매출액은 2020년 812억원에서 2022년 1065억원으로 증가했다. 연평균 성장률(CAGR)은 14.5% 수준이다. 영업이익 역시 2020년 44억원에서 2022년 79억원으로 늘었다. 특히 올해 상반기 기준 매출액은 664억원으로 전년 온기 매출액 대비 63%를 달성했고, 상반기 영업이익은 77억원으로 전년 온기와 비교했을 때 이미 97%를 넘어선 것으로 집계됐다.

 

신성에스티는 상장을 통해 확보한 공모 자금은 북미시장 진출을 위한 투자자금으로 사용할 방침이다. 최근 인플레이션 감축법(IRA)으로 북미시장에 대한 고객사들의 투자가 집중되고 있는 상황에서 협력사의 동반 진출도 요구되는 시점으로, 북미시장에 교두보를 확보하고 수주활동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신성에스티의 공모 주식수는 총 200만주(신주 100%)이다. 1주당 공모 희망가액은 2만2000원에서 2만5000원이고, 총 공모금액은 440억원에서 500억원이다. 9월 22일부터 10월 4일까지 기관 수요예측을 진행해 공모가를 확정한 뒤, 같은 달 10일과 11일 일반 투자자들을 대상으로 청약 진행 후 10월 19일 코스닥 시장에 입성할 예정이다.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