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경제>경제정책

지난달 국내 출생등록 '역사상 최소'...1만7000명대 내려앉아

9월 인구 7200명 감소
서울·세종 등 14개 시도↓

서울의 한 산후조리원 신생아실의 모습 /뉴시스

 

 

올해 9월 국내 출생아 수가 월간기준으로 역대 최소치를 기록했다. 또 사상 처음 1만8000명 선을 밑돌았다.

 

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총출생등록은 1만7926명으로 8월보다 1771명 줄었다.

 

출생아 수는 기존 최소기록(올해 4월·1만8287명)을 5개월 만에 갈아치웠다. 그 이전 최소는 지난해 12월의 1만8511명이었다.

 

월간 출생아 수는 지난 2021년 12월(1만9041명) 역사상 처음으로 2만 명 밑으로 떨어진 바 있다. 2022년 들어 잠시 2만 명대를 회복했으나 6월(1만9652명)과 7월(1만9774명)에 다시 내려앉았고, 12월에 첫 1만8000명대를 나타냈다.

 

이로써 2021년 12월부터 2023년 9월까지 2만 명 하회를 총 6번 기록했다.

 

총출생등록은 15년 전인 2008년 9월 3만9768명에 달했다. 10년 전인 2013년 9월(3만6160명)에도 올해 9월 수치의 갑절 이상이었다.

 

그러나 5년 전인 2018년 9월에 2만4565명으로 뚝 떨어졌다. 그리고 그 이듬해인 2019년 12월 대한민국의 인구 감소가 시작됐다.

 

행안부에 따르면 9월 전체 인구는 5137만 명으로 전달에 견줘 7212명 감소했다. 또 올 들어서만 지난해 말 대비 6만9037명 줄어들었다.

 

지난달 전국 17개 시·도 가운데 3곳(경기, 인천, 충남)을 제외하고 14개 지역에서 모두 쪼그라든 것으로 집계됐다.

 

서울(-1926명)과 부산(-1904명)이 나란히 1, 2위를 기록해 이번에도 국가 인구 감소를 견인했다. 국내 제1, 2 도시인 서울과 부산 인구는 각각 940만 명, 330만 명 선 붕괴를 목전에 두고 있다. 9월 기준 940만7540명과 330만836명이다.

 

이어 경북(-1699명)과 경남(-1300명), 전북(-1154명), 전남(-1044명), 광주(-811명) 순이었다. 이 밖에 대구와 대전 거주민 수가 8월에 비해 각각 663명, 242명 내려갔다. 인구 40만이 채 안되는 세종(-21명)과 70만 미만의 제주(-172명) 또한 감소했다.

 

이에 반해 경기 인구는 1375명 늘어 1362만6339명(역대 최다)에 달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