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EV 대중화 기아, '기아 EV데이'서 EV3·4·5 국내 최초 공개

기아가 12일 경기도 여주시에 위치한 마임비전빌리지에서 EV 데이를 개최하고 EV6(왼쪽부터), EV4콘셉트, EV5, EV3 콘셉트, EV9 등 EV 라인업을 공개했다.

기아가 전용 전기차 모델 라인업 확대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상품성은 물론 가격경쟁력을 갖춘 다양한 신차 출시로 전기차 시장의 '퍼스트 무버' 전략에 속도를 높인다.

 

기아는 12일 경기도 여주시에 위치한 마임비전빌리지에서 '2023 기아 EV 데이'를 개최하고 EV 시대로의 전환을 앞당기기 위한 청사진을 공개했다.

 

기아는 이날 준중형 전동화 스포츠유틸리티차(SUV) 더 기아 EV5(이하 EV5)를 국내에 처음 공개하고 더 기아 콘셉트 EV4(이하 EV4 콘셉트)·더 기아 콘셉트 EV3(이하 EV3 콘셉트) 등 콘셉트카 2종을 세계 최초로 선보였다.

 

EV5는 EV6, EV9에 이은 기아의 세 번째 전용 전기차 모델로 다양한 유형의 차량을 구성할 수 있도록 모듈화 및 표준화된 통합 플랫폼인 'E-GMP'를 적용한 최초의 전륜 기반 전용 EV다.

 

조상운 기아 글로벌사업기획사업부장(상무)은 "EV5는 EV 대중화의 시작점에 있는 기아의 글로벌 전기차 모델"이라며 "EV5는 향후 기아가 출시할 EV4 및 EV3와 함께 전기차 대중화 트렌드를 이끌 것"이라고 소개했다.

 

EV5는 길이가 약 4.6m, 휠베이스(축간 거리)는 약 2.7m로 기아의 대표 SUV 모델인 스포티지와 비슷한 크기를 갖추고 있다. 경쟁 모델인 폭스바겐의 ID.4보다는 약간 길고, 테슬라의 모델Y보다는 약 125㎜ 가량 짧다.

 

EV5는 중국과 한국에서 생산되며 스탠다드 2WD와 롱레인지 2WD·AWD 등 3가지로 운영한다. 중국 모델의 경우 롱레인지 AWD 모델은 88kWh의 배터리를 탑재하고 230kW의 합산 출력을 갖췄으며 중국 CLTC 기준 650km의 1회 충전 주행거리를 목표로 한다. 한국 모델의 경우 81kWh 용량의 배터리를 탑재한 롱레인지 AWD 모델은 195~225kW 수준의 합산 출력을 갖출 예정이며 1회 충전 주행거리는 시장에 맞게 최적화 개발 중이다.

 

EV4 콘셉트는 기아가 추구하는 차세대 전동화 세단의 방향성을 보여준다. K3와 닯은 기아 최초의 순수 전기세단이 될 예정이다. EV3 콘셉트는 소비자의 취향과 생활방식에 맞게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해 활용성을 높였다.

 

또 EV 라인업 확장과 충전 인프라 확대 등을 통해 전기차의 대중화를 이끌기 위한 비전을 구체화했다.

 

기아 EV5 전측면 모습.

기아는 현재 시장에 출시한 EV6와 EV9을 포함해 3만 달러(약 4000만원)에서 8만 달러(약 1억원)까지 가격대에 대응하는 EV 풀라인업을 기획하고 있으며 향후 B, C 세그먼트에 대응하는 다양한 형태의 차종을 출시할 예정이다. 특히 EV5와 EV4, EV3 등 중소형 모델은 3만5000달러(약 4500만원)에서 5만 달러(약 6700만원)의 가격대를 형성할 전망이다.

 

기아는 글로벌 충전 인프라 확대에도 집중하고 있다. 최근 기아 북미 법인은 2024년 4분기부터 미국에서 판매 전기차에 북미충전표준(NACS) 충전 포트를 적용해 약 1만 2000기의 테슬라 슈퍼차저를 이용할 수 있게 됐다. 기아는 4개 자동차그룹과 연합한 아이오니티(IONITY)를 통해 현재 유럽 주요 고속도로에 2800기의 초급속 충전기를 설치했으며 2025년까지 총 7000기를 설치할 예정이다. 국내에서는 이핏(E-Pit)을 포함해 2025년까지 3500기를 설치할 계획이다.

 

기아 EV4 콘셉트 전측면 모습.

이와 함께 기존에 분산됐던 기능을 통합하기 위해 스마트폰 어플리케이션 'Kia App(기아 앱)'을 2024년 상반기 출시할 예정이며, 오프라인 거점의 새로운 서비스, 차량 내 생성형 AI(인공지능) 서비스 등 다양한 고객경험 콘텐츠도 확대할 방침이다.

 

기아는 이와 같은 전략을 통해 연간 글로벌 전기차 판매를 2026년 100만대, 2030년에는 160만대 수준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기아 EV3 콘셉트 후측면 모습.

송호성 기아 사장은 "지속가능한 모빌리티 솔루션 제공자로서 기아가 그리는 전동화로의 전환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며 "EV9과 EV6에 적용한 첨단 EV 기술과 친환경 소재, 대담한 디자인, 직관적인 서비스를 앞으로 출시할 대중화 EV 모델로 확대 전개함으로써 가능한 많은 고객에게 기아의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