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금융>은행

기업대출 경쟁 빨간불…"당국 선제적 조치 필요"

기업대출 9개월 만에 52조↑…하반기 증가폭 높아
이자도 못내는 한계기업들 늘어…'건정성' 도마위
"금융당국 향후 변명보다는 선제적 조치 필요"

은행권이 기업대출 시장으로 선회하면서 기업대출 잔액이 급증하고 있다./픽시베이

금융당국이 가계대출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면서 시중은행들이 가계대출 대신 기업대출에 집중하고 있다. 다만 고금리 기조가 유지되면서 한계기업이 늘어 은행 건전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나온다. 전문가들은 기업대출 증가에 따른 금융당국의 선제 조치가 필요하다는 의견이다.

 

13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9월 말 기준 기업대출(대기업+중소기업) 잔액은 756조331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2월 말(703조6745억원) 대비 9개월 만에 52조6565억원 증가하면서 지난해 전체 기업대출 잔액 증가폭(52조5318억원)을 3분기 만에 넘어섰다.

 

기업대출은 하반기 들어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 ▲7월 7조7620억원 ▲8월 8조5075억 ▲9월 8조8417억원 등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기업대출 증가 원인은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급증세를 잡기 위해 규제를 실시했기 때문이다.

 

또한 고금리 시기로 기업들이 자본시장에서 회사채나 주식 등으로 직접 자금을 조달하기가 어려워지자 은행에서 돈을 빌려야 하는 상황과 맞물리게 되면서 은행들이 가계대출에서 기업대출 강화에 초점을 맞춘 것이다.

 

국민은행은 올해 기업금융 관련 조직을 전면 개편했다. CIB(기업투자금융) 고객그룹은 투자은행(IB)자산의 전산화와 효율적이고 체계적 관리 차원에서 개편을 하고, IB자산 관리시스템을 집중 개발하고 고도화를 추진하는 차원에서 유닛을 부서로 전환했다. 중소기업고객그룹은 외환 마케팅 및 상품, 서비스 개발 업무 집중 위해 부서 통합을 했다.

 

우리은행은 '기업금융 명가' 재건을 내걸고 기업대출 확대를 통해 시장 1위 탈환이라는 목표를 설정했다.

 

신한은행의 경우 상생금융의 일환으로 4조원 이상 규모의 취약 중소기업 대상 종합금융지원 대책을 발표했다.

 

하나은행 역시 함영주 하나금융회장의 지시로 공격적안 기업대출 확장에 나서고 있다.

 

문제는 은행 간 출혈경쟁이다. 기업 대출의 건전성은 경기에 달려있는데, 국내 경기 전망이 밝지 않기 때문에 한계기업들이 늘어나게 되면 리스크 관리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다.

 

실제 5대 은행(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과 주요 국책은행(산업은행·IBK기업은행·수출입은행)이 지난 8월말까지 한계기업에 대출한 금액은 54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 2019년 말(34조2000억원) 대비 무려 20조원 넘게 증가했다.

 

신용도가 낮은 중소기업의 경우 회사채를 시장에서 받아주지 않아 은행 대출에 의존 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전문가들은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진 기업대출시장에 대해 금융당국이 선제적인 조치에 나서야 한다고 주장한다.

 

익명을 요구한 경제학과 교수는 "현재 금융당국의 정책은 우리나라 금융시장 안정화에 거리가 먼 정책만 내놓고 있다"며 "가계부채 증가 원인으로 꼽히고 있는 50년 만기 주담대 상품도 승인한 적이 없다는 입장으로 나오고 있기 때문에 기업대출이라도 금융당국이 정확히 선제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서지용 상명대 경영학부 교수는 "중소기업 대출 연체율 상승은 상당히 높은 수준이다"며 "기업대출 비중이 높아진 상황에서 은행 역시 과도한 영업은 자제하고 금융당국은 리스크 관리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