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부산대 개발 ‘해양쓰레기 처리 기술’ 국제 포럼서 소개

사진/부산대학교

부산대학교 수소선박기술센터는 지난 9~12일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개막한 'AIS 포럼(Archipelagic & Island States Forum)'에서 우리나라 다부처협력기술개발사업의 하나로 부산대가 주관해 수행하고 있는 '해양쓰레기 처리 수소선박' 개발 사업이 중점적으로 소개됐다고 12일 밝혔다.

 

AIS 포럼은 섬나라 형태 국가들의 세계 최대 규모 연합 정책 포럼이다. 인도네시아(의장국)를 비롯해 영국·일본·필리핀·세이셸군도 등 총 47개 국가가 참가해 기후 변화 완화, 블루 이코노미, 해양쓰레기, 해양 분야 국제 거버넌스 활성화 등 해양 도서국가들의 당면 이슈를 다뤘다.

 

특히 지난 9일 포럼 메인 세션을 통해 포럼 의장국인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가 포럼 참가국들을 대상으로 직접 한국(부산대)이 개발하고 있는 해양쓰레기 처리 수소 선박 프로젝트와 기술을 상세히 소개하며 태평양·인도양 등 해양쓰레기로 고통받는 국가들에서의 활용에 대한 많은 논의가 이뤄졌다.

 

인도네시아는 이 선박의 자국 활용 방안을 이미 검토하고 있으며, 선박뿐만 아니라 선박에 적용된 여러 기술을 해양쓰레기 문제로 고심하는 도서국가들에게 소개함으로써 표준 기술로 활용을 제안했다.

 

메인 세션 발표를 맡은 인도네시아 해양수산부 해양공간관리총국 해양연구센터장 헨드라(Hendra Yusran Siry) 박사는 "2018년 인도네시아 대통령령(No.83)으로 지정된 해양쓰레기 관리 계획의 직접적인 관리 실행 방안이자 연구 개발 강화 차원에서 한국과의 협력 프로젝트를 긴밀하게 추진하고 있다"며 "긴 해안선을 보유한 인도네시아를 비롯한 군도, 섬국가들 입장에서는 선박에서 해양쓰레기 처리 프로세스가 한꺼번에 이뤄지는 한국의 해양쓰레기 처리 선박 운영이 매력적·효과적 솔루션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부산대가 주관해 개발하고 있는 해당 프로젝트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해양수산부가 공동 지원하는 '11차 다부처협력기술개발사업'의 하나로 2022년부터 수행되고 있다. 2025년 선박 건조를 목표로 핵심 모듈 제작과 부산시·울산시·경남도 등 3개 광역지자체 지원을 통한 선박 선체 설계 등이 진행되고 있다.

 

이 사업은 해양에 부유하는 쓰레기를 선상에서 '수거-처리-에너지자원화' 일괄 형태로 처리하는 선박 개발을 목표로 한다. 국내 독자적으로 개발한 세계 최초의 기술들이 다수 적용돼 이번 포럼뿐만 아니라 유엔 IMDC(국제해양폐기물콘퍼런스), 일본 NHK 방송 등에도 잇따라 소개돼 국제사회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사업 책임자인 부산대 조선해양공학과 이제명 교수(수소선박기술센터장)는 "이 선박은 해양쓰레기 처리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새로운 시도"라면서 "세계 최고의 조선 해양 기술을 보유한 우리나라 기술진이 글로벌 해양환경 개선 활동을 선도할 수 있도록 선박 건조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도서국가들 연안의 해양쓰레기 문제만이 아니라 아직 어느 누구도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태평양 쓰레기섬 문제까지 해결해서 친환경 해양 기술 강국 대한민국의 국격을 높이는 데 일조하고 싶다"는 포부를 드러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