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증권>증권일반

멈추지 않는 외국인의 '셀 코리아'...진정 혹은 반전 가능성은

코스피가 전날 대비 29.74포인트(1.21%) 상승한 2479.82, 코스닥지수는 전날 대비 18.37포인트(2.25%) 오른 835.49에 장을 마감한 12일 오후 서울 여의도 KB국민은행 스마트딜링룸에서 직원이 업무를 보고 있다. 이날 서울 외환시장에서 원·달러 환율은 전날보다 0.2원 내린 1338.5원에 마감했다. /뉴시스

미국의 고금리 장기화에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전쟁여파로 인한 유가 급등 등 여러 악재가 겹치면서 외국인의 셀코리아가 계속되고 있다. 증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외국인의 매도세가 언제까지 이어질지 시장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12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지난 9월 20일부터 전날까지 2조2815억원어치 주식을 순매도했다. 이날에도 608억원을 팔아치웠다. 외국인의 순매도세는 5개월째 이어지고 있다. 실제로 코스피 시장에서 외국인 투자자들은 6월부터 8375억원어치를 순매도하며 팔자로 전환한 이후 7월(1조7304억원), 8월(5585억원), 9월(1조652억원) 내내 순매도로 일관했다.

 

이 기간 동안 외국인의 순매도 상위 종목을 살펴보면 외국인 투자자들은 증시를 이끌었던 이차전지 관련주에 집중돼 있다. 외국인은 포스코홀딩스를 5조6574억원어치 순매도한 것을 비롯해 LG화학(1조3820억원), LG에너지솔루션(8381억원), 삼성SDI(6953억원) 순으로 팔아치웠다.

 

코스피 시장은 지난달 중순부터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하반기 들어 2500~2600 사이에서 등락을 이어왔던 코스피 지수는 지난 9월18일부터 이달 10일까지 7.64% 빠지며 2400선에서 움직이고 있다.

 

외국인 투자자의 투자심리를 악화시키는 원인으로 고금리 장기화 우려에 따른 미국 국채금리 급등, 원·달러 환율 상승, 중동지역 분쟁 등이 꼽힌다. 앞서 미국의 고금리 기조가 장기간 유지될 것이란 전망에 금융시장 변동성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에 대한 선호가 높아졌는데 이스라엘·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의 무력 충돌이 새로운 변수로 등장하면서 외국인들의 안전 자산 선호가 더욱 확산됐다.

 

다만 다수 전문가들은 외국인의 강한 매도세가 조만간 진정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미국 증시에서는 국채 금리 급등이 경제 전반을 짓누를 수 있다는 우려로 추가 긴축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에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관계자들은 내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를 앞두고 연일 비둘기파(통화 완화)적 메시지를 내고 있다. 또한 이·팔 충돌이 부추길 유가 재급등도 증시에 장기간 영향을 미치진 않을 것이란 관측이 우세해지고 있다. 당분간 국제원유시장의 높은 가격 변동성이 금융시장에 제한적 영향을 미치겠지만, 시스템 리스크로 발전할 가능성은 작을 것으로 보기 때문이다.

 

김정윤 대신증권 연구원은 "9월 중순부터 코스피시장에서 외국인들의 매도세가 하루도 빠짐없이 이어지고 있지만 선물 매도세 규모가 절대적으로 크지 않을 뿐만 아니라 금융시장의 공포 심리가 정점을 통과한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증시를 괴롭히던 채권금리, 통화정책 관련 불확실성 등이 낮아질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는 "원·달러 환율 하락에 추가적인 하방 압력이 작용된다면 외국인들의 현물 순매수세 전환도 기대해 볼 수 있다"고 덧붙였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