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물류/항공

"하늘 위에서 먹으면 얼마나 맛있게요?"…항공사, 각양각색 '기내식' 띄우기

에어서울 '정호영 우동 기내식' 3종/에어서울

코로나19 팬데믹의 위기를 지나 여객 회복에 집중하고 있는 항공사들이 기내 서비스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기내식 서비스 특성화에 공을 들이고 있다.

 

15일 항공업계에 따르면 항공사들은 올해 성수기를 기점으로 빠르게 여행 수요를 회복하는 중이다. 실제로 인천공항공사는 올 3분기 인천국제공항을 이용한 여객은 1541만9010명에 달한다고 발표한 바 있다.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분기(1792만4471명)를 100%라고 볼 때 86%까지 여객 수요가 회복된 것이다. 특히 지난 8월12일에는 올여름 성수기 최대인 19만3917명이 인천공항을 이용했다.

 

여객 상승세에 올라탄 항공사들은 이러한 분위기를 이어가기 위해 기내식 서비스를 다양화하고 특색 있게 만드는데 투자하고 있다.

 

에어서울은 일식 전문가이자 요리연구가로 유명한 정호영 셰프의 우동을 기내에서 판매 중이다. 정 셰프는 '카덴'이라는 우동 전문점의 대표로 이미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에어서울이 기내식으로 판매하는 ▲통통 새우살 샐러드 우동 ▲간장계란버터 우동 ▲고기 마제 우동 ▲김치비빔 우동(오는 27일부터 주문 가능) 4가지 종류다.

 

에어서울 측은 "기내식으로 우동을 출시하려고하는데 '면 개발'부터 난항이었다"며 "상공에서 뜨거운 우동 면을 지상에서처럼 익히는 게 여의치 않아 정호영 셰프가 고민을 많이 했다"라고 전했다. 정 셰프는 자칫하면 화상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뜨거운 국물 우동 대신에 비빔우동 3종을 기획해 인기몰이에 성공했다.

 

에어서울의 '우동 기내식'은 국제선 전 노선에서 구매 가능하며 항공편 출발 48시간 전까지 홈페이지 및 모바일 웹·앱, 예약센터 등을 통해 주문할 수 있다.

 

진에어의 경우도 한식 메뉴를 다양화하면서 2시간 이상 소요되는 국제선 이용객들의 출출한 배를 채우고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는 전략을 구사한다. 진에어가 추가한 기내식 종류는 ▲소불고기덮밥 ▲곤드레나물밥 ▲제육덮밥 ▲양념치킨밥 ▲떡볶이·튀김 등이다.

 

아울러 '가성비·가심비'를 잡기 위해 기존 메뉴 리뉴얼에도 나섰다. 대표적인 어린이 메뉴인 소시지 오므라이스와 짜장밥은 각각 50g씩 증량했고, 비빔밥, 김치볶음밥, 칠리라이스 가격을 기존 1만1000원에서 9900원으로, 함박 스테이크 덮밥은 1만3500원에서 1만2500원으로 인하했다.

 

대형항공사(FSC)인 대한항공도 올해 3월부터 제철 식재료를 활용한 한국식 채식 메뉴를 개발해 고객들에게 제공하고 있다. 한국식 채식 메뉴는 ▲우엉 보리밥·버섯 강정 ▲탕평채 ▲매실 ▲두부무침 ▲된장 마 구이 ▲은행 죽 등이 있다. 국제선을 이용하는 만 24개월 미만 유아들에게는 특별 기내식으로 이유식을 제공하는 중이다.

 

항공사들 입장에서도 특색 있는 기내식은 광고·홍보 효과 측면에서도 승객의 호감을 얻을 수 있는 좋은 소재인 셈이다. 또한 고객 피드백이 가장 빠른 부문이니만큼 신경을 쓸 수밖에 없는 서비스다.

 

한 저비용항공사(LCC) 관계자는 "LCC와 FSC의 부대수익 매출 비중 차이야 있겠지만 기내식은 승객이 가장 직관적으로 마주하는 항공사의 대표 서비스"라며 "주로 특별 기내식을 주문하는 연령대는 20~30대가 80%에 이를 정도로 젊은 승객들에게 각광을 받고 있다"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