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3분기 어려운 환경에서도 꾸준한 호실적을 이어갔다. 미래비전' 성과도 가시화하고 있다. .
LG전자는 3분기 매출 20조7094억원에 영업이익 9967억원 실적을 확정 공시했다.
LG전자는 냉난방공조(HVAC) 등 B2B 사업이 전체 30% 비중을 넘어서며 실적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2030년까지 매출액 기준 40조원 이상으로 끌어올릴 계획이다.
또 가전과 TV 등 기존 사업에 더해 콘텐츠와 서비스 등 무형 사업 영역을 결합하는 방식도 수익성을 높였다고 설명했다. 영업이익이 전분기보다 30% 이상 늘어 기대를 뛰어넘었다고 밝혔다.
아울러 신사업영역에서는 시너지를 낼 유망 영역에 집중하며 투자와 육성을 가속화하고 추가 성장 기회를 확보한다는 방침이다. 전기차 충전 사업이 대표적이다.
지난 7월 발표한 '미래비전 3대 동력'이 일관성 있게 추진된 것. LG전자는 ▲성장 주도(B2B) ▲수익 창출(Non-HW) ▲기업가치 제고(신사업)을 앞세워 연평균 성장률 및 영업이익률 7% 이상, 기업가치 7배 이상이라는 '트리플 7목표를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사업별로는 H&A사업본부가 매출 7조4574억원에 영업이익5045억원으로 높은 성적을 이어갔다. 성수기를 앞두고 마케팅 비용이 늘었지만, 생산과 물류 등 경쟁력을 앞세워 영업이익을 전년 동기보다 2배 이상 늘렸다. B2B 비중 확대도 성과가 있었다.
VS사업본부도 다시 한 번 역대 최대 영업이익을 새로 썼다. 매출 2조5035억원에 영업이익 1349억원으로, 연말 100조원에 육박하는 수주잔고를 기록할 전망이다. 연간 매출액 10조원 돌파도 확신했다.
HE사업본부와 BS사업본부는 시장 침체 위기 속에서도 선방했다. HE사업은 매출 3조5686억원에 영업이익 1107억원으로 견조한 수준을 이어갔고, BS사업은 매출 1조3309억원에 영업손실 205억원으로 피해를 최소화했다.
LG전자는 가전 부문에서 탈탄소화와 전기화 트렌드에 따라 B2B 부문을 더 성장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미국 캘리포니아와 히트펌프 600만대 공급 사업에 공동 참여하는 등 B2B 사업뿐 아니라 가정용 실외공기 전담공조시스템 도아스(DOAS) 등으로 라인업을 확대하는 등 노력도 이어간다. 업가전 2.0을 앞세운 서비스와 구독 중심 생활가전 패러다임도 주도한다는 포부다.
전장사업도 일시적 수요둔화 우려에도 고속 성장은 이어질 것이라 예상하며 고부가 프로젝트 대응과 멕시코 생산기지 가동 등 성장 기조를 유지하기로 했다.
HE 사업은 제품뿐 아닌 플랫폼 사업 전환에 속도를 내며 2026년까지 WebOS를 3억대로 확대한다는 목표를 이어갈 예정이다.
BS 사업은 어려운 환경 속 상업용 디스플레이와 폴더블 노트북 등 프리미엄 IT 라인업을 앞세우고, 전기차 충전사업 투자를 지속하며 미래 먹거리를 확보한다.
Copyright ⓒ Metro. All rights reserved. (주)메트로미디어의 모든 기사 또는 컨텐츠에 대한 무단 전재ㆍ복사ㆍ배포를 금합니다.
주식회사 메트로미디어 · 서울특별시 종로구 자하문로17길 18 ㅣ Tel : 02. 721. 9800 / Fax : 02. 730. 2882
문의메일 : webmaster@metroseoul.co.kr ㅣ 대표이사 · 발행인 · 편집인 : 이장규 ㅣ 신문사업 등록번호 : 서울, 가00206
인터넷신문 등록번호 : 서울, 아02546 ㅣ 등록일 : 2013년 3월 20일 ㅣ 제호 : 메트로신문
사업자등록번호 : 242-88-00131 ISSN : 2635-9219 ㅣ 청소년 보호책임자 및 고충처리인 : 안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