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사회>지역

영종 소각장 주민대책위, 영종 5곳 예비후보지 철회 2차 집회 열어

 

영종국제도시 소각장 주민대책위원회는 지난 28일 영마루공원에서 '서부권 소각장 영종 5곳 예비후보지 백지화'를 요구하는 2차 집회를 열었다. 50여명이 참가한 이번 집회에서는 공항신도시 중심상가 도보 행진과 주민 홍보전을 펼쳤으며, 주민대책위원회 관계자들과 일부 주민들은 인천시청까지 차량행진을 이어갔다.

 

영종국제도시 소각장 주민대책위원회는 지난 28일 인천 중구 운서동 영마루공원 앞에서 '영종5곳 소각장 예비후보지 선정 백지화'를 촉구하는 2차 집회를 열었다.

 

영종소각장 예비후보지 5곳 선정 백지화를 주장하며 반대 투쟁의 전면에 나서고 있는 주민대책위는 지난 21일과 22일 세계전통음식축제에서도 소각장 반대 서명운동을 전개해 1,500명의 주민으로부터 서명을 받기도 했다.

 

집회에 참석한 미단교회 이춘의 목사는 "통행료와 제3연륙교 문제 등은 십여 년간 주민들이 끈질기게 관심을 가지고 노력해온 결과 열매를 맺은 것처럼 소각장 문제도 끝까지 싸우면 우리 영종의 깨끗한 환경을 지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차광윤 IFEZ 시민협의회 위원은 "생활쓰레기 소각장을 막지 못하면 현재 용역중인 하수 슬러지 소각장까지 들어올 수도 있다"며 "우리 지역의 자연환경을 보존하고 살기좋은 지역으로 가꾸어 가기 위해서는 주민들이 힘을 합쳐 광역소각장을 반드시 막아내야 한다"고 밝혔다.

 

영종이 고향으로 70년을 살고 있다는 박상우 평화대교 교통대책위원회 위원장은 "살기 좋은 우리 영종지역 주민들과 미래에 이곳의 주인이 될 아이들을 위해서는 다이옥신이 배출되는 소각장은 절대 들어서서는 안되는 시설로 주민 모두가 함께 나서야 한다"며 "주민들이 결사반대에도 불구하고 금산에 미사일기지가 옮겨지면서 지금은 주민들이 갈 수도 없는 곳이 된 것처럼, 인천시의 인센티브에 현혹되지 말고 우리 사는 고장은 주민들의 힘으로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영종국제도시 소각장 주민대책위원회는 지난 28일 영마루공원에서 '서부권 소각장 영종 5곳 예비후보지 백지화'를 요구하는 2차 집회를 열었다. 50여명이 참가한 이번 집회에서는 공항신도시 중심상가 도보 행진과 주민 홍보전을 펼쳤으며, 주민대책위원회 관계자들과 일부 주민들은 인천시청까지 차량행진을 이어갔다.

 

집회 참가자들은 '소각장NO' 피켓을 들고 운서동 공항신도시 중심상가를 도보행진 하며 주민들에게 소각장 입지 선정의 부당함을 홍보했고, 주민대책위 관계자와 일부 주민은 인천시청까지 차량행진을 이어갔다.

 

주민대책위 관계자는 "권역별 인구 편차가 큼에도 불구하고 서부권에 2,000억원을 투입해 300t 규모 소각장을 짓겠다는 것은 비효율적인 예산 낭비"라며 "인구를 감안해 서부권을 남부권과 북부권에 분산 편입하면 예산 절감은 물론이고 주민 갈등도 해소될 수 있어 서부권 소각장을 건설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한편 인천시 관계자는 '후보지 재검토나 권역 재조정 계획은 없다'며 '자원순환센터의 필요성과 인식개선,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에 따른 주민 수용성 강화에 시간을 가지고 설득해 가겠다'는 입장이다.

 

주민대책위는 자원순환센터 공동협약'에 따른 '영종 불가론' 정책 즉각 이행, 중구청은 서부권역 즉시 탈퇴, 유정복 인천시장은 3,000명 시민공감에 대해 즉각 응답을 요구하는 집회를 지속하겠다는 계획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