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산업>자동차

전기차 최대 난제 '배터리 열폭주·전고체 배터리' 등 해결책 찾아라…내년 서울서 국제 전기차 학술대회 'EVS37' 개최

1일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EVS37 기자간담회에 참석한 선우명호 EVS37 조직위원장 겸 세계전기자동차협회 회장(가운데)을 비롯해 조직위원회가 내년 열릴 EVS37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130년간 이어져 온 내연기관의 시대가 가고 다양한 이동수단의 동력원이 전기에너지로 대체되는 시점에서 열리는 EVS는 전 세계 모빌리티 업계가 나아갈 방향성을 확인할 수 있는 이정표 역할을 할 갓이다."

 

선우명호 세계전기자동차협회(WEVA) 회장(EVS37 조직위원장)은 1일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내년 4월 개최되는 '제37회 세계전기자동차 학술대회 및 전시회(EVS37)'를 앞두고 진행된 기자간담회에서 이같이 말했다. EVS37은 내년 4월 23일부터 26일까지 서울 코엑스에서 개최되며 향후 10년간 이어질 전기자동차 시장의 트렌드를 제시할 전망이다. ▲현재 전기차 업계의 최대 난제인 '배터리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는 고체 배터리(Solid-state Battery)의 발전 방향, ▲글로벌 최고 완성차 기업들의 SDV(Software Define Vehicle,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 전환 등에 대한 글로벌 석학들의 심도 있는 논의가 예정돼 있다.

 

선우명호 EVS37 조직위원장은 "SDV 전환, 고체 배터리 등 전기차 업계가 당면해 있고 민감한 초대형 현안 이슈들에 대해 전 세계 최고 전문가들이 서울 EVS37에 모여 업계의 큰 방향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EVS37에서는 최근 전기차 외부 충격 시 온도가 800℃ 이상으로 치솟으며 순식간에 불이 옮겨붙는 '배터리 열폭주' 현상에 대한 우려가 큰 상황에서, 이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위한 방안들이 제시될 전망이다. 또 누액 위험과 발화 가능성이 낮아 '꿈의 배터리'로 불리는 '고체 배터리'를 두고 경쟁을 벌이고 있는 글로벌 완성차·배터리 제조업체들의 상용화 방안 및 계획도 주목을 받는다. 이와 함께 마치 스마트폰처럼 소프트웨어를 통해 자동차 성능을 개선하고 기능을 추가할 수 있는 SDV로 전환하기 위한 글로벌 완성차 기업들의 비전도 관심사다.

 

이 때문에 대회조직위는 EVS37 주제를 '미래 모빌리티로 향하는 웨이브'로 정했다.

 

EVS37에는 배터리 분야의 석학 아흐마드 파세란 미 국립재생에너지연구소(NREL) 박사, '중국 전기차발전의 대부'로 불리는 오우양밍가오 칭화대학 교수, 전고체 배터리 분야 최고 권위자들인 셜리 멍 UC샌디에이고대 교수와 위르겐 야네크 독일 기센대학교 교수 등이 참석한다. 또 GM, 메르세데스-벤츠, BMW 등 글로벌 완성차와 부품사들의 최고위급 임원과 기술진 1500여 명이 참석할 예정이다.

 

한편1969년부터 열린 EVS는 전 세계에서 가장 오래되고 규모가 큰 전기차 전시회·학술대회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는 물론이고 최고의 기술력을 자랑하는 연구진들이 모여 전기차 등 미래 모빌리티의 주요 동향과 첨단 기술 발전을 논의하는 '세계 전기자동차의 올림픽'으로 불린다.

 

향후 전기차 트렌드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업계의 관심을 모으는 행사다. EVS는 세계전기자동차협회(WEVA)가 매년 대륙별 전기자동차 협회와 함께 아시아·유럽·북미 대륙을 순회하며 개최한다. 한국에서는 2002년 EVS19(부산), 2015년 EVS28(고양)에 이어 내년 EVS37이 세 번째가 된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