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기자수첩

[기자수첩] 첨단 기술의 발전 속도

기자수첩 김서현

 

 

세계 4대 성인은 모두 고독했지만 공자(孔子)는 더욱 그랬다. 공자는 긴 세월 자신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고 그의 고언을 받아들일 군주를 찾아 다녔지만 죽는 날까지 찾지 못했다. "때로 배우고 익히면 기쁘지 아니한가"로 시작하는 논어의 두 번째 구절이 "먼 곳에서도 스스로 찾아오는 이 있으니 기쁘지 아니한가"인 것은 그의 삶 자체를 말한다 할 수 있겠다.

 

사람은 누구나 고독하고 외롭다. 그래서 타인을 만나기 위해 끊임없이 동분서주 한다. 첨단 ICT 기술이 결국 누군가와 이어져 떨어지지 않으려는 기술이라 생각하면 무척 의미심장 하다. 요즘 IT업계는 '소셜마케팅(Social marketing)'을 충성소비자를 확보하기 위한 중요한 수단 중 하나로 보고 힘쓰고 있다. 처음 론칭했다고 하는 여러 서비스 앱과 웹을 보면 늘 이용자 간에 의견이나 정보를 나눌 수 있는 공간을 두고, 누군가의 글에 반응할 수 있는 기능을 꼭 둔다. 전세계 최첨단 기술의 선두에 선 메타의 시작은 2009년 페이스북의 '좋아요(Like)'였다는 몇몇 학자들의 평가를 생각하면 정말 그런가 싶다. ICT 기술이 걷잡을 수 없이 빠르게 발전하는 이유는 모든 사람의 심연에 있는 절대고독 때문일지도 모른다.

 

세상 모든 현상은 다면적이다. 첨단 기술도 그런 듯 하다. 지난 3월 고립 은둔 청년(은둔형 외톨이)에 대한 정부 실태조사 결과가 나왔다.고립 은둔 청년이 집에서 하는 활동은 주로 '인터넷(59.1%)'로 나타났고 그 다음은 게임(11.1%)였다. 비교군인 서울시 청년 또한 52%가 집에서 주로 인터넷을 한다고 답했는데, 2순위는 게임이 아닌 TV시청(10.1%)로 달랐다. 은둔 고립 청년은 타인의 반응을 확인하고 교류할 수 있는 활동이 주를 이루고 서울시 청년은 도리어 홀로 즐기는 독서, 음악감상, 실내운동 등으로 나타났다. 'SNS나 채팅등으로 누군가와 대화하는가?'라는 질문에 긍정적인 응답을 한 비율은 서울시 청년 대비 절반에 불과했다.

 

인터넷은 1969년 UCLA와 SRI연구소 간 연결로 시작 된 ARPANET 후 시작됐다. 누군가와 누군가를 연결하기 위해 시작 된 인터넷이지만 우주보다 넓은 망망대해 인터넷 속에서 여전히 외로운 누군가들이 있다. 첨단 기술이 발전해도, 아무리 발전해도 해결할 수 없는 일들은 결국 있나 보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