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오피니언>칼럼

[임경수 교수의 라이프롱 디자인] 학습형 일자리를 아시나요

임경수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성인학습지원센터장

인간을 창조한 상제가 또 인간에게 먹고 살 수 있는 일을 만들어 주기 위해 100명의 하제들을 불러 모았다. 99명의 하제에게 직업을 나눠주며 인간에게 그 일을 알려주도록 하였으나 100번째 하제에겐 줄 직업이 남아있지 않았다.

 

직업 없이 세상에 내려 온 100번째 하제는 마땅히 할 일이 없다보니 사람들을 만나면 '삶이란 무엇인가?', '어떻게 사는 게 올바른 것인가?'와 같은 질문만 하고 다녔다.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놀랍게도 100번째 하제를 따르는 사람들이 생겼다. 하제가 다시 돌아간 후에도 이 무리들은 질문하는 일을 하게 되었고, 다른 사람들이 수입을 걷어서는 질문하는 이들의 생계를 도왔다.

 

현대교육학개론에 실린 교사론의 앞 이야기이다. 이야기를 쓴 부산교대 박천환 교수는 이 무리들을 일컬어 '질문하는 일'을 하는 사람이라고 했다. 오늘날 가르치는 사람, 즉 교사라는 직업을 설명하기 위함이다.

 

필자가 초등학교 다닐 때인 70년대에 흑백TV로 사람들을 불러 모았던 미드(미국드라마의 약칭)가 있었다. '하버드대학의 공부 벌레들'(원제: The Paper Chase)이다. 이 드라마의 인기 비결은 내로라하는 수재들의 오금을 저리게 한 킹스필드 교수에 있었다.

 

위엄한 자세, 엄격한 말씨, 대통령들을 제자로 두었다는 암묵적 권위 등이 한 몫을 하지만 무엇보다 압권은 소크라테스식의 질문법이었다. 킹스필드 교수의 끊임없는 질문에 답변하지 못하고 쩔쩔매는 수재들을 보면서, 답변을 만들기 위해 도서관에 잠입하고, 밤을 지새우다 지각을 하고, 그러고도 답변을 못해 화장실에서 괴성을 지르는 장면들을 보면서 우리는 학습의 흥미진진함에 빠져들었다.

 

이 쯤에서 이 글의 주제인 '학습형 일자리'를 논해 보자. 일은 본래부터 학습을 통해 이루어지고, 학습과 함께 발달한다. 요즘엔 이를 워크플로우 러닝이라고 한다. 한마디로 일과 함께 하는, 일의 흐름 속에서 학습한다는 점에서 일병행학습이라고 한다.

 

학습형 일자리는 이와 같이 학습과 일자리가 연계되었으니 융복합임에 틀림없다. 융복합의 방법에 따라 그 형체나 내용이 달라질 것도 분명하다. 그러면 융복합의 경우의 수를 따져보자.

 

첫 번째는 학습을 통해 기존 일을 영위하는 것이다. 평생교육기관의 고용연계 프로그램들이 모두 여기에 해당된다. 전기·전자, 기계·설비, 자동차 분야는 학습이 잘 이루어지면 고용으로 연계되기 쉽다고 한다.

 

한국폴리텍대학의 경우 이 분야 취업률이 80%를 넘는다. 그 만큼 일자리 공급이 많다보니 수요처가 많고, 학습하겠다는 사람들의 경쟁률도 높은 편이다. 이 경우는 융합이 아니라 복합이다. 기존 방식의 학습과 기존 형태의 일자리가 결합되는 것이다.

 

다음으로 학습을 통해 그 다음 학습자들을 가르치는 일이 있다. 'learner to teacher'라는 색다른 융합모델이다. 학습자에서 교수자가 된다는 것은 인간의 자아실현 욕구에 가장 충실한 것이다. 누구든 자식에서 부모가 되고 싶고, 학생에서 교사가 되고 싶은 것처럼 학습한 것을 가르치고 싶어 한다.

 

요즘 많은 지자체에서, 특히 평생학습도시에서 추진하는 학습형 일자리는 이러한 유형에 초점을 맞춘다. 국가의 평생교육진흥기본계획은 학습형 일자리를 '마을주민이 중심이 된 지역인재 양성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프로그램을 통해 양성된 인재들을 지역주민들을 위한 강사로 취업시키는 새로운 형태 일자리 창출 모델'이라고 설명한다. 한마디로 배워서 가르친다는 환류형 모델이다. 도전해 볼만한 일이다. /임경수 건국대학교 글로컬캠퍼스 교수/성인학습지원센터장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