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트로人 머니 산업 IT·과학 정치&정책 생활경제 사회 에듀&JOB 기획연재 오피니언 라이프 AI영상 CEO와칭 플러스
글로벌 메트로신문
로그인
회원가입

    머니

  • 증권
  • 은행
  • 보험
  • 카드
  • 부동산
  • 경제일반

    산업

  • 재계
  • 자동차
  • 전기전자
  • 물류항공
  • 산업일반

    IT·과학

  • 인터넷
  • 게임
  • 방송통신
  • IT·과학일반

    사회

  • 지방행정
  • 국제
  • 사회일반

    플러스

  • 한줄뉴스
  • 포토
  • 영상
  • 운세/사주
IT/과학>방송통신

통신사, NFT 시장 틈새 공략…"미술품부터 ESG까지"

SKT, CGV·강남역 등에 NFT 갤러리 운영
KT, ESG 테마로 NFT 발행
LGU+, 인천시·롯데홈쇼핑과 NFT 생태계 확장

SK텔레콤이 CJ CGV와 함께 서울 코엑스와 강남역 일대 대형 미디어월에서 대체불가능토큰(NFT) 예술을 전시하는 '오프라인 NFT 아트 갤러리'를 운영한다.

최근 대체불가능한토큰(NFT) 시장의 인기가 급감하고 있는 가운데 통신 업계는 반대행보를 보이고 있다. '탈통신'을 넘어 아예 빅테크에 방점을 찍겠다는 모습이다. NFT를 접목한 아트 갤러리를 직접 운영하는가 하면, NFT로 ESG 활동까지 알리고 있다.

 

6일 NFT 데이터 제공 업체 NFT고에 따르면 NFT 시장 시가총액은 지난달 27일 기준 약46억달러(약 6조2353억원)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기간 약 160억달러(약 21조6880억원)에서 약120억달러(약 16조2660억원) 가까이 빠진 것. 다만, 지난해 약 178억 달러까지 치솟았던 것을 고려하면 잠재된 가치가 있다고 보고 있다. 이 때문에 이동통신 3사와 게임사 등 ICT업계에서는 NFT 발행부터 신사업 연계를 통해 사업 확장에 나서고 있다.

 

SKT가 운영하는 '오프라인 NFT 아트 갤러리'에 설치된 키오스크에서 시민이 QR코드를 인식하고 있다./SKT

먼저 SK텔레콤은 대중이 대체불가능토큰(NFT) 예술을 접할 수 있는 '오프라인 NFT 아트 갤러리'를 운영을 본격화한다. SK텔레콤은 지난 3일 CJ CGV와 서울 코엑스와 강남역 일대 대형 미디어월 구간에서 '오프라인 NFT 아트 갤러리'를 운영을 본격 운영한다고 밝혔다.

 

실제 서울 강남구에 위치한 코엑스 지하에 설치된 대형 화면에는 화려한 영상미를 뽐내는 유화 작품들이 펼쳐져 있었다. 생동감있는 작품들은 지하공간을 미술관으로 탈바꿈 시켰다.

 

오프라인 NFT 아트 갤러리는 10월 NSYME 작가, 김보슬 작가, 김병종 작가와 콜라보한 4인의 신진작가, 11월부터는 장승효 작가의 NFT 작품을 전시 중이다. 이후에도 작가들을 지속 발굴해 전시한다는 계획이다.

 

특히 코엑스 NFT 아트 갤러리에는 키오스크가 설치돼 있다. 이에 따라 일반 대중들도 전시중인 NFT 예술작품을 현장에서 구매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이번 전시에서는 탑포트에서 판매 중인 NFT 작품도 전시한다. 탑포트는 디지털 아트가 NFT 형태로 발행돼 창작자와 수집가를 연결하는 플랫폼이다.

 

김종승 SK텔레콤 Web3 팀장은 "최근 소비재, 엔터테인먼트 등 전통 Web2 기업들이 NFT를 자사의 멤버십과 결합하려는 다양한 시도가 확대되고 있다"며 "NFT와 생성형 AI 기술이 결합된 디지털 아트가 주목을 끌면서 NFT 시장의 새로운 도약을 눈앞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LG유플러스는 자사 NFT(무너), 인천광역시 NFT(히어로즈), 롯데홈쇼핑 NFT(벨리곰)를 보유한 고객(홀더)에게 3사가 신규 발행한 NFT 우선 획득권 혜택(화이트리스트)을 제공한다고 지난 18일 밝혔다. 사진은 LG유플러스 모델이 각 사 NFT에 활용된 캐릭터와 함께 기념 사진을 촬영하고 있는 모습./LG유플러스 제공

KT는 NFT 프로젝트에 ESG 콘셉트를 접목했다. KT는 지난해 진행한 KT민클x라온 NFT 프로젝트의 2차 NFT를 발행했다. 해당 프로젝트는 NFT 구매자가 프로젝트에 참여하고, 그 안에서 얻는 혜택을 자연스럽게 대중에게 확대하는 모델을 추구했다. KT는 프로젝트 협력기업들과 봉사활동에 참여하고 NFT 판매금액의 일부를 KT민클×라온 NFT 프로젝트 이름으로 기부해 NFT를 통한 ESG와 사회공헌을 실천한다.

 

SK텔레콤도 최근 탄소배출권 플랫폼업체인 윈클과 ESG를 소재로 NFT사업을 하기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SK텔레콤의 NFT 유통 플랫폼인 탑포트에서 ESG 마케팅이 필요한 기업을 대상으로 NFT 발행을 지원하겠다는 게 이 협약의 핵심이다.

 

LG유플러스는 인천광역시, 롯데홈쇼핑과 함께 대체불가토큰(NFT) 생태계 확장에 나섰다. LG유플러스는 지난 18일 자사 NFT(무너크루), 인천광역시 NFT(히어로즈), 롯데홈쇼핑 NFT(벨리곰)를 보유한 고객(홀더)에게 3사가 신규 발행한 NFT 우선 획득권 혜택을 제공한다고 밝혔다.

 

LG유플러스 관계자는 "이번 협력이 NFT 소장 가치를 높이는 동시에 각 사의 고객 혜택을 확대하기 위해 추진하는 공공·민간 협업 프로젝트"라고 설명했다.

트위터 페이스북 카카오스토리 Copyright ⓒ 메트로신문 & metroseoul.co.kr